특별검사
헤드라인 뉴스
-
日 총리, '핵 반입' 금지 풀까… '비핵 3원칙' 재검토 시사에 거센 후폭풍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비핵 3원칙' 재검토를 시사하자, 피폭자들을 중심으로 분노와 당혹감이 확산하고 있다고 16일 마이니치신문이 보도했다. 비핵 3원칙은 '핵무기를 보유·제조·반입하지 않는다'는 내용으로, 1967년 사토 에이사쿠 당시 총리가 표명한 일본의 핵심 안보 정책이다. 다카이치 총리는 미국의 확장억제를 고려해 이 중 '반입 금지' 규정
-
'전작권 전환' 가속도…한미, '국방비 증액·무기 구매' 빅딜
한미 정상이 '동맹 현대화'의 일환으로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에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이는 이재명 정부의 임기 내 전작권 전환 의지에 따라 관련 논의가 가속화될 전망이다. 14일 발표된 한미 공동 설명자료(조인트 팩트시트)에 따르면, 양 정상은 전작권 전환을 위한 동맹 차원의 협력을 지속하기로 명시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국방력 강화, 전작권
-
"대만은 레드라인"… 中, 日총리 '유사시 개입' 발언에 대사 초치
중국 외교부가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대만 유사시 무력 개입' 시사 발언에 항의하며 가나스기 겐지 주중 일본대사를 초치했다. 쑨웨이둥 중국 외교부 부부장은 13일 가나스기 대사를 '자오젠'(召見·불러 만나다)해 엄정한 교섭을 제기했다고 14일 밝혔다. '자오젠'은 일반적인 외교관 초치 용어보다 항의 수위가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중국 외교부는 이
-
'대장동 항소 포기' 파문 확산… 국민의힘 "명백한 국기문란"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가 13일 검찰의 대장동 개발 비리 사건 항소 포기에 대해 "이재명 방탄을 위한 공동 협박에 의한 노만석의 위법한 항소 포기"라고 주장하며, 관련자들의 책임을 물었다. 장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노 대행의 사퇴를 "꼬리 자르기"로 규정하며 "더 큰 국민적 분노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장 대표는 또한 항소 포기된 대장동
-
"문자 암호화 뚫렸다" 국정원 경고… KT, 악성코드 감염도 '은폐 의혹'
KT의 일부 스마트폰에서 문자(SMS) 암호화가 해제되는 현상을 국가정보원이 지난 9월 확인하고, 이를 '국가 사이버 안보 위협'으로 판단해 KT와 과기정통부에 공식 통보한 사실이 드러났다. 13일 국정원이 최민희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국정원은 제보를 받아 검증한 결과 KT 일부 단말기에서 문자 통신이 '종단 암호화'로 보호되지
-
일본 여행 비싸진다… '출국세·비자비' 대폭 인상 추진
일본 정부가 과잉관광(오버투어리즘)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세금 및 수수료 인상 등 징수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다. 정부는 우선 '출국세'로 불리는 '국제관광 여객세'를 현행 1천엔(약 9천500원)에서 3천엔(약 2만8천500원) 이상으로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는 지난 9월 말 집권 자민당 총재 선거 당시 3천엔
-
"李 대통령 탄핵까지 싸우겠다"…국민의힘, '대장동 항소 포기' 총공세
국민의힘은 12일, 대장동 사건 1심 판결에 대한 검찰의 항소 포기 결정을 '정권의 부당한 개입'으로 규정하고, 대대적인 규탄 행동에 나섰다. 이날 국민의힘은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대장동 일당 7천400억 국고 환수 촉구 및 검찰 항소 포기 외압 규탄대회'를 개최했으며, 주최 측은 집회 인원을 1만 5천 명으로 추산했다. 장동혁 대표는 "항소 포기의
-
고용률 '역대 최고'의 그늘… 청년층 18개월째 '내리막'
지난 10월 취업자 수가 19만 3천 명 증가하며 2,904만 명을 기록, 10만~20만 명대의 안정적인 증가 흐름을 유지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33.4만 명)과 30대(8만 명)에서 취업자가 증가했으나, 15~29세 청년층은 16만 3천 명 감소해 가장 큰 감소 폭을 보였다. 청년층 고용률은 44.6%로 18개월 연속 하락했다. 산업별로는
-
태국 '낮술'에 45만 원 과태료... 관광객 어쩌나
태국 정부가 지난 8일부터 음주 금지 시간대에 식당, 카페 등 상업시설에서 술을 마시는 소비자에게 1만 밧(약 45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음주 금지 시간대는 자정부터 다음 날 오전 11시, 오후 2시부터 5시까지다. 기존에는 이 시간대에 슈퍼마켓 등 소매점의 '판매'만 금지했으나, 이번에 '소비자' 처벌 조항이 신설되면서 논란이 커졌다.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