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드라인 뉴스
-
10·15 부동산發 후폭풍…민주당, 민심과 선거 사이 '숨고르기'
더불어민주당이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는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발표된 고강도 규제가 수도권 표심에 미칠 파장을 경계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당 지도부인 정청래 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는 17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부동산 정책에 대한 언급을 피했다. 당은 이번 대책이 규제 중심이지만, 추가 공급과 세제
-
500조 '투자 청구서' 내민 美… 韓 외환시장 '흔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한미 무역 협상의 핵심 쟁점인 3500억 달러 대미 투자금 선납 요구에 대해 정부의 우려를 미국 측에 공식 전달했으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설득은 여전히 과제로 남았다고 밝혔다. 방미 중인 구 부총리는 16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을 만나, 거액의 투자금 선지급이 한국 외환시장의 안정성을 해칠
-
미얀마 국경에 세워진 '2조 원대 범죄 제국'의 실체
미얀마 북부 국경지대에서 '4대 범죄 가문'으로 불리는 조직이 온라인 사기를 중심으로 한 거대 범죄 제국을 건설, 한국인을 포함한 수많은 피해자를 양산해온 사실이 드러났다. 중국 관영 CCTV 보도에 따르면, 류정샹(劉正祥)을 수괴로 하는 류씨 일가는 코캉 지역에서 조직적 온라인 사기를 벌여 범죄를 산업 수준으로 확장했다. '코캉 최고 갑부'로 불린
-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주춤', 민주당은 '출범 첫 30%대' 쇼크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56%를 기록, 2주 전보다 소폭 하락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6일 나왔다. 부정 평가는 1%p 상승한 35%를 기록했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13~15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조사에서, 이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9월 첫째 주 62%를 기록한 이후
-
언론 자유의 암흑기…미 국방부 보도 통제에 기자단 집단행동으로 맞서다
미 국방부 출입 기자단이 국방부의 새로운 보도 통제 정책에 반발해 집단으로 출입증을 반납하고 기자실에서 철수했다. 펜타곤 언론인 협회는 15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국방부가 제시한 새로운 미디어 정책 서명을 거부하자 미국 내 거의 모든 주요 언론사 소속 기자의 출입증을 몰수했다고 밝혔다. 협회는 해당 정책이 국가 안보 관련 보도를 범죄화할 수 있는
-
이재명 대통령, 스웨덴 왕세녀와 미래 협력 논의
이재명 대통령은 1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한국을 방한 중인 스웨덴의 빅토리아 왕세녀를 접견하고 양국 관계 발전 방안을 논의했다. 이 대통령은 스웨덴이 한국전쟁 당시 의료지원단을 파견하는 등 한반도 평화에 기여해 온 점을 높이 평가하며, 앞으로도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를 당부했다. 또한, 첨단기술 및 재생에너지 등 미래
-
'범죄 소굴' 된 캄보디아…정부, 교민 구출 '합동 대응팀' 급파
정부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취업사기, 납치, 감금 등 강력범죄가 잇따르는 캄보디아에 15일 합동 대응팀을 파견했다. 김진아 외교부 2차관을 단장으로 한 대응팀은 경찰청, 법무부, 국가정보원 등 관계부처 당국자로 구성됐으며, 이날 오후 수도 프놈펜으로 향했다. 대응팀은 현지에서 캄보디아 고위급 인사와 면담을 추진한다. 지난 8월 발생한 '한국인 대학생
-
파월의 '피벗' 선언…금리 인하 넘어 양적긴축 중단까지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이 노동시장 약화 우려를 근거로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다. 또한, 양적긴축(QT)을 수개월 내에 종료할 수 있다고 밝혀 통화정책 전환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높였다. 파월 의장은 14일(현지시간) 연설에서 "고용 증가가 둔화하며 노동시장의 하방 위험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하며, 연준의 양대 책무 중
-
혈세 41억은 퇴역 장성 쌈짓돈?…국방과학연구소 '그들만의 리그'
국가 핵심 연구기관인 국방과학연구소(ADD)가 자문위원의 85%를 퇴역 장성으로 채워 '전관예우' 통로로 활용하고 있으며, 정작 필요한 민간 전문가는 외면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백선희 의원이 ADD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정책·연구자문위원 66명 중 56명(약 85%)이 군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제도 시행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