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헤드라인 뉴스
-
국민의힘 "대통령, 검찰청 폐지 법안 거부권 행사하라"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가 27일,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국회를 통과한 검찰청 폐지 법안에 대해 이재명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를 촉구했다. 장 대표는 이날 국회 기자간담회에서 "78년간 사법체제의 한 축을 담당했던 검찰청을 폐지하는 정부조직법이 통과됐다"며, 해당 법안을 '민주당이 던진 폭탄'으로 규정했다. 그는 검찰청을 공소청과 중대범죄수사청으로 분리하는 이
-
'국가 전산망 심장부' 멈추게 한 배터리 화재
지난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 대전 본원 전산실에서 발생한 리튬이온배터리 화재로 총 647개의 정부 업무시스템 가동이 중단됐다. 정부는 서버 보호를 위한 '선제적 조치'였다고 강조했지만, 사실상 국가 핵심 전산망이 화재 하나에 속수무책으로 멈춰 섰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화재는 26일 오후 8시 15분경 전산실의 무정전
-
사법부, '비상계엄 재판' 정면돌파…정치권 압박에 "신속·공정"으로 응수
천대엽 법원행정처장(대법관)은 27일, 비상계엄 관련 사건 재판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사법부가 신속하고 투명한 재판을 위해 각종 지원 방안을 마련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국민의 신뢰를 받는 법원이 되기 위해 국회와도 적극 협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천 처장은 이날 서울대에서 열린 '제2회 한국법학자대회' 축사에서 "법원은 비상계엄 관련 재판의 역사적
-
여당, 필리버스터 중단시키고 검찰청 폐지 법안 단독 처리
26일 국회는 본회의에서 검찰청 폐지 등을 골자로 하는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여당 주도로 통과시켰다. 이번 개정안은 검찰청을 폐지하고 중대범죄수사청(중수청)과 공소청을 신설하여 검찰의 수사·기소 기능을 분리한다. 중수청은 행정안전부 장관, 공소청은 법무부 장관 소속으로 둔다. 검찰청 폐지와 중수청·공소청 설치는 1년의 유예기간을 두어, 검찰청은 설립 78년
-
상하이에 뜬 '디지털 위안화 허브'… 달러 아성 흔들까?
중국이 국경 간 디지털 위안화 사용을 본격화하고 달러 중심 금융 체제에서 벗어나기 위한 행보로 상하이에 국제운영센터를 설립했다. 26일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상하이에 디지털 위안화 국제운영센터가 공식적으로 운영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 센터는 인민은행 디지털화폐연구소가 기획 및 관리하며, 국경 간 결제 시스템 구축 및 국제 표준 형성 등 디지털
-
‘대법원장 사퇴 논란’ 영향?… 이 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
26일 발표된 한국갤럽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가 전주보다 5%포인트(p) 하락한 55%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부정 평가는 3%p 오른 34%를 기록했다. 이번 조사는 한국갤럽이 지난 23일부터 25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의견을 유보한 응답자는 11%였다. 한국갤럽은 이번
-
"장군들의 오징어게임"… 미 국방, 전 세계 지휘관 긴급 소집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장관이 전 세계에 복무 중인 미군 현역 장군 전원을 긴급 소집했다. 이는 매우 이례적인 조치로, 소집 배경에 대한 다양한 추측과 함께 안보 공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현지시간 25일, 외신에 따르면 헤그세스 장관은 미군 준장(1성) 이상 지휘관 대부분에게 오는 30일 버지니아주 콴티코 해병대 기지로 집결할 것을 지시했다.
-
입 막으려다 날개 달아준 FCC… '지미 키멀 쇼'의 통쾌한 역전극
미국 ABC 방송의 심야 토크쇼 '지미 키멀 라이브!'가 우파 활동가 찰리 커크 암살 관련 발언으로 촉발된 방송 중단 논란 끝에 복귀해, 온라인에서만 2천만 회가 넘는 조회수를 기록하는 등 뜨거운 관심을 모았다. 앞서 진행자 지미 키멀은 특정 정치 세력이 찰리 커크의 죽음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해당 발언이 정치적 논란으로 비화하자
-
"스와프는 입장권일 뿐"…美 3500억불 투자 요구에 靑 '제동'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24일(현지시간) 한미 관세협상과 관련해 '무제한 통화 스와프'가 체결된다고 해서 협상이 자동으로 타결되는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유엔총회 참석차 뉴욕을 방문 중인 김 실장은 브리핑에서 통화 스와프는 협상의 '필요조건'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대규모 투자에 따른 외환시장 충격을 막을 최소한의 안전장치로, 이 문제가 해결되어야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