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
헤드라인 뉴스
-
'범죄 소굴' 된 캄보디아…정부, 교민 구출 '합동 대응팀' 급파
정부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취업사기, 납치, 감금 등 강력범죄가 잇따르는 캄보디아에 15일 합동 대응팀을 파견했다. 김진아 외교부 2차관을 단장으로 한 대응팀은 경찰청, 법무부, 국가정보원 등 관계부처 당국자로 구성됐으며, 이날 오후 수도 프놈펜으로 향했다. 대응팀은 현지에서 캄보디아 고위급 인사와 면담을 추진한다. 지난 8월 발생한 '한국인 대학생
-
파월의 '피벗' 선언…금리 인하 넘어 양적긴축 중단까지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이 노동시장 약화 우려를 근거로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다. 또한, 양적긴축(QT)을 수개월 내에 종료할 수 있다고 밝혀 통화정책 전환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높였다. 파월 의장은 14일(현지시간) 연설에서 "고용 증가가 둔화하며 노동시장의 하방 위험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하며, 연준의 양대 책무 중
-
혈세 41억은 퇴역 장성 쌈짓돈?…국방과학연구소 '그들만의 리그'
국가 핵심 연구기관인 국방과학연구소(ADD)가 자문위원의 85%를 퇴역 장성으로 채워 '전관예우' 통로로 활용하고 있으며, 정작 필요한 민간 전문가는 외면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백선희 의원이 ADD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정책·연구자문위원 66명 중 56명(약 85%)이 군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제도 시행
-
미중, '관세 폭탄' 주고받으면서도 대화 문은 '활짝'
미국과 중국이 이달 말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담 가능성을 앞두고, 서로 수출 통제와 보복성 제재를 발표하며 갈등 수위를 높이고 있다. 양국은 물밑 협상을 이어가면서도 상대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여 협상력을 극대화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의 미국산 대두 수입 중단에 대응해 특정 사업 관계 단절을 검토한다고 경고했다.
-
시진핑의 '여성 인권' 약속, 현실과 동떨어진 '공허한 메아리'?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4일 베이징에서 열린 세계여성정상회의에 참석한 각국 정상들과 연쇄 회담을 가졌다. 시 주석은 아이슬란드, 모잠비크, 가나, 도미니카연방, 스리랑ка 정상과 각각 만나 양자 협력 및 국제 현안을 논의했다. 구체적으로 아이슬란드와는 '지열·녹색 전환 협력 성명'을 채택했으며, 가나에는 자원 개발 지원을 약속했다. 또한 도미니카연방,
-
'답변 없는' 대법원 국감…민주당, 맹공 퍼붓고 "우리도 잘못"
더불어민주당은 14일, 국회 법사위 국정감사에서 조희대 대법원장이 의원 질의에 답변 없이 일방적 입장만 밝힌 데 대해 강력히 비판했다. 다만, 국정감사가 여야 간 고성과 설전으로 파행된 데 대해서는 원활한 진행을 이끌지 못한 점을 인정하는 자성의 목소리도 나왔다.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국민이 궁금해하는 본질적 질문을 차분하게 해서 답변을 끌어냈어야
-
캄보디아 교민 안전 '적신호'… 대통령 "가용자원 총동원" 긴급 지시
이재명 대통령이 14일, 캄보디아에서 잇따르는 한국인 대상 납치·감금 사태와 관련해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신속하고 확실하게 대응하라"고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피해자 보호와 연루자들의 신속한 국내 송환을 최우선 과제로 삼을 것을 강조했다. 이러한 지시는 최근 캄보디아에서 보이스피싱 조직 등에 의해 우리 국민이
-
미 국방부 vs 언론 초유의 대치…'표현의 자유' 시험대에
미국 국방부와 언론계가 위헌적 보도지침을 둘러싸고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국방부 기자단인 펜타곤 언론인 협회는 13일(현지시간), '미승인 정보' 보도를 제한하라는 국방부의 서약 요구를 공식 거부했다. 이번 갈등은 국방부가 승인 없이 기밀 및 통제 정보를 보도할 경우 출입증을 박탈하겠다고 경고하면서 촉발됐다. 국방부는 14일 오후 5시까지 관련 서약서에
-
한미 '3500억 달러 투자' 샅바싸움…APEC 담판이 분수령
대통령실은 13일 한미 관세협상과 관련, 핵심 쟁점인 3,500억 달러 대미 투자에 대해 양국이 수정안을 교환하며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달, 3,500억 달러 전액을 직접 투자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외환 문제와 국내 경제 충격을 우려해 미국 측에 수정안을 제시했다. 이 수정안에는 직접투자 비중을 조정하는 내용과 함께 ▲무제한 한미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