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헤드라인 뉴스
-
'텃밭' 다지기 나선 민주당, 광주에 '역대급 예산' 보따리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가 18일 '텃밭'인 광주를 찾아,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역대 최대 규모의 국비 지원을 약속했다. 핵심은 광주를 '인공지능(AI) 핵심 거점'으로 육성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날 광주시청에서 열린 예산정책협의회에는 정 대표와 당 지도부, 광주 지역 국회의원, 강기정 시장 등이 참석했다. 정 대표는 5·18 민주화운동 등 광주의 역사적
-
'중국판 샹그릴라 대화' 개막…베이징에 쏠린 세계의 눈
17일 중국 베이징에서 제12회 샹산포럼이 사흘간의 일정으로 개막했다. 아시아 최대 안보 회의인 '샹그릴라 대화'의 중국판으로 불리는 이번 포럼에서는 100여 개국 국방·안보 전문가들이 모여 국제 안보 현안을 논의한다. 특히 최근 전승절 열병식에서 군사적 자신감을 과시한 중국이 미국을 겨냥해 어떤 메시지를 내놓을지가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다. 포럼의 공식
-
프랑스, 18일 '암흑의 날' 오나… 40만 총파업에 국가 마비 위기
오는 18일, 프랑스 전역에서 정부의 긴축 재정 정책에 반대하는 대규모 총파업이 열릴 예정이다. 이는 지난 10일 '국가 마비' 시위에 이은 두 번째 대규모 대정부 투쟁으로, 전국적으로 약 40만 명 이상이 참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파업으로 특히 교통 부문의 극심한 혼란이 예상된다. 프랑스 철도공사(SNCF)와 파리교통공사(RATP)의 주요 노조가
-
美, 한국에 484조 '백지수표 투자' 요구… 한미 협상 '뇌관'으로
한미 관세 후속 협상에서 한국의 3,500억 달러 대미 투자가 핵심 쟁점으로 떠올랐다. 미국은 최근 일본과 합의한 5,500억 달러 투자 모델을 한국에도 요구하며 관세를 무기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미국은 일본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는 15%로 인하하면서 한국산에는 25%를 유지하는 차별적 조치를 단행해 한국의 입지를 좁혔다. 미국이 한국에 강요하는
-
이재명 정부, '개헌' 승부수…대한민국 대개조 로드맵 나왔다
이재명 정부가 향후 5년간의 국정 운영 방향을 결정할 123개 국정과제를 확정하고, 국가 운영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정부는 16일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국무회의를 열어 국정기획위원회가 제출한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을 의결했다. 이 대통령은 "주권자의 뜻이 담긴 123대 국정과제를 나침반 삼아 국민의 삶을 변화시키고 세계를 선도하는 대한민국을
-
사법부 독립 '흔들'…與 대법원장 압박에 野 "결연히 맞서 싸울 것"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는 16일, 여권이 조희대 대법원장의 사퇴를 압박하는 것에 대해 "삼권분립을 정면으로 부정하는 폭거이자 법원을 인민재판소로 만들려는 반민주적 발상"이라고 규탄했다. 송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사법부 장악 시도에 대통령마저 가담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청래 최고위원의 사퇴 요구와 추미애 법사위원장의 '내란범
-
미, 일본차 관세만 '슬쩍' 인하…고립된 한국차 '10%p 관세 폭탄'
오는 16일(현지시간)부터 미국이 일본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15%로 인하하기로 확정하면서, 기존 25% 관세를 유지하게 된 한국 자동차 업계가 미국 시장에서 심각한 가격 경쟁력 위기에 직면했다. 이로써 한국산 자동차는 일본산에 비해 10%포인트 높은 관세를 떠안게 됐다. 당초 한국과 일본은 모두 미국과의 무역 협상을 통해 자동차 관세를 15%로
-
경제는 '빨간불', 시진핑은 '마이웨이'… '출혈 경쟁'에 칼 빼들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부진한 경제 지표 발표에도 불구하고, 기업 간의 과도한 저가 출혈 경쟁을 강하게 비판하며 이를 바로잡겠다는 의지를 재차 밝혔다. 이는 경기 침체 우려 속에서도 '질적 성장'이라는 기존 정책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시 주석은 16일 발간될 공산당 이론지 '추스(求是)' 기고문을 통해 "기업 간 저가 경쟁과 무질서한
-
이재명 대통령, '규제와의 전쟁' 선포... "책임은 정부가 지겠다"
15일, 이재명 대통령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열린 '제1차 핵심 규제 합리화 전략회의'를 직접 이끌었다. 이 회의에서는 데이터, 자율주행, 로봇 등 미래 성장 동력의 발목을 잡는 규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들이 심도 있게 논의되었다.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대통령 직속으로 '규제 합리화 위원회'를 신설하겠다고 공언하며, 규제 개혁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