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노
헤드라인 뉴스
-
“부당한 상사 명령, 안 따릅니다”… 공직사회 ‘상명하복’ 깨지나
정부가 공무원이 상사의 위법한 직무 명령을 거부할 수 있도록 하는 국가·지방공무원법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 이에 공무원 노조들은 25일 일제히 환영 입장을 밝혔다. 이번 개정안은 1949년 제정 이후 76년간 유지되어 온 '복종의 의무' 조항을 '지휘·감독에 따를 의무'로 변경하는 것이 핵심이다. 개정안에 따르면 공무원은 앞으로 상관의 위법한 직무상
-
이 대통령 "흡수통일 없다" 선 긋기… 튀르키예와 '원전·방산 동맹' 시동
이재명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통일은 헌법에 명시된 책무이자 최종 목표지만, 일방적인 방식은 추구하지 않는다"며 정부의 공식적인 통일 기조를 재확인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튀르키예 국빈 방문을 앞두고 공개된 아나돌루 통신과의 서면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히며, 한반도 전체 구성원의 민주적 의사를 반영한 '점진적·단계적 통일'을 추구한다고 설명했다. 이는
-
대만해협의 파고, 유엔과 G20까지 덮쳤다... 격랑 속의 중일 관계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대만 유사시 무력 개입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촉발된 중일 갈등이 유엔(UN)과 G20 등 국제 외교 무대로 확산되고 있다. 양국 간의 설전은 군사적 긴장감마저 고조시키며 전방위적인 대립 양상을 보이고 있다. 23일 마이니치신문 등 일본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이번 갈등은 다카이치 총리가 지난 7일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대만
-
이재명, G20 무대서 ‘AI 기본사회’ 띄운다… 남아공 요하네스버그 도착
이재명 대통령이 아랍에미리트(UAE)와 이집트 순방을 마치고 21일(현지시간)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개최지인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 도착했다. 이 대통령은 이튿날 오전부터 이틀간 '연대와 평등, 지속가능성'을 주제로 열리는 G20 정상회의 공식 일정에 돌입한다. 이번 회의에서 이 대통령은 △소외되지 않는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경제
-
"평화냐 영토냐"… 트럼프, 우크라에 '28개항' 선택지 내밀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평화협상 합의 시한을 오는 27일로 제시했다. 4년 가까이 지속된 전쟁을 끝내기 위해 마련된 '28개항 평화계획' 초안을 바탕으로 연내 종전을 목표로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폭스뉴스 라디오 인터뷰에서 "나는 많은 최종시한을 정해왔고 상황에 따라
-
"민생 레드카드" 꺼내 든 장동혁... 전국 돌며 대야(對野) 전면전 선포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가 오는 22일부터 내달 2일까지 전국을 순회하며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 외압 의혹에 대한 국정조사 실시와 이재명 대통령 재판 재개를 촉구하는 여론전에 나선다. 이번 행보는 오는 12·3 비상계엄 1주년을 맞아 더불어민주당이 '내란 청산'을 명분으로 대여 공세를 강화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현 정권의 각종 의혹과 민생 파탄 문제를
-
중동 하늘의 '스텔스 삼국지', 美 독주 막으려는 中 J-35의 도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1일, 중국이 자국의 5세대 스텔스 전투기인 '젠(J)-35'를 앞세워 미국 무기 도입이 제한적인 중동 국가들을 대상으로 집중적인 판촉 활동을 벌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 17~21일 아랍에미리트(UAE)에서 열린 두바이 에어쇼에서는 5세대 스텔스 전투기 생산국인 미·중·러 3국 간의 치열한 판매
-
"월급은 60세에 멈추는데 연금은 65세부터… '마의 5년' 해법 없나"
최근 정년 연장을 둘러싼 사회적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양대 노총은 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과 법정 정년 사이의 '소득 공백' 해소를 위해 65세 정년 연장의 연내 입법을 강력히 촉구했다. 반면 재계는 법정 정년 연장이 투자와 신규 채용 위축을 불러올 수 있다며, 일률적 연장 대신 '퇴직 후 재고용'과 임금체계 개편을 대안으로 제시해 입장이 팽팽히
-
다카이치 '대만 발언' 후폭풍… 중국, 일본산 수산물 수입 재중단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대만 유사시 개입' 발언으로 중일 갈등이 격화되는 가운데, 중국 정부가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다시 중단한다고 통보했다. 19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이날 오전 외교 경로를 통해 오염수 모니터링 필요성을 이유로 수입 중지 의사를 전달했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기술적 자료 미비를 표면적 이유로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