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를 이용한 외국인 관광객의 만족도는 100점 만점 기준 93점..
(사진= 픽사베이 캡처)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KTX와 SRT 등 고속 열차 이용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5년 상반기 고속철도 이용객 수가 5,825만 명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1.6% 증가, 외국인 이용객은 무려 13.4% 증가했다고 밝혔다.
2025년 상반기 동안 전국 간선 철도망(고속철도 및 일반 철도)을 통해 총 8,509만 명이 열차를 이용했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0.3% 증가한 수치이다. 특히, 상반기 고속철도 이용객은 전년 대비 1.6% 증가한 5,825만 명으로 고속철도가 국민 일상 이동의 핵심 교통 수단으로 자리매김을 확고히 했다.
올해 상반기 고속철도는 KTX(준고속KTX-이음 포함) 45.4백만명(日 25만 명), SRT 12.8백만 명(日 7만 명)을 수송해 총 58.3백만 명이 이용한 것으로 집계, 이는 ’24년 상반기 57.3백만 명 대비 1.6% 증가한 수치로, KTX-청룡 등 지속적으로 속도를 높여가는 고속철도에 대한 국민적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고속철도 이용률 KTX 109.1%, SRT 130.3%, 승차율 KTX 65.5%, SRT 77.7%
(이용률) 이용인원/좌석수, (승차율) ∑이용인원×이동거리 / 좌석수×전체거리
한편, 일반철도(무궁화, ITX-마음 등)의 상반기 수송 인원은 26.8백만 명으로 전년 27.6백만 명 대비 2.6% 감소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고속철도와는 대조를 이뤘다.
’24년 하반기부터 ’25년 1월까지 6개 신규 노선을 개통하며, 최근 10년간 가장 많은 철도망 확장이 이뤄졌다. 신규 노선은 ’25년 상반기 동안 약 250만 명을 수송하며, 철도 이용객 증가에 기여했다.
* 서해선(홍성~서화성), 포승-평택선(홍성~안중~평택~천안~홍성, 순환열차), 중부내륙선(충주~문경),
중앙선(안동~영천), 동해선(포항~삼척), 교외선(의정부~대곡)
동해선(부전~강릉)은 직결 고속도로가 아직 없는 동해안 지역에 새로운 교통축으로 등장해, 상반기 누적 수송인원 99.2만 명을 기록(이용률 136.0%, 승차율 62.8%)했다. 이는 주요 시·군을 통과하는 노선이 모두 개통된 결과로, 동해안 지역의 생활 인구 확대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 특히, 울진역은 개통 6개월 만에 누적 10만명 돌파, 동해안 주요 역으로 급부상
중앙선(청량리~부전)은 서울과 부산을 잇는 제2경부축으로 상반기 누적 98.7만 명을 수송(이용률 163.2%, 승차율 62.8%)했으며, 이용객 수가 점차 증가하면서, 강릉선과 함께 준고속 대표 노선으로 자리 매김 하고 있다.
이외 중부내륙선(판교~문경) 29만 명, 서해선(홍성~서화성) 5만 명, 포승-평택선(홍성~평택~천안~홍성) 7만 명, 교외선(의정부~대곡) 10만 명을 수송하며, 신규 철도 노선을 통한 국민 이동 편의성이 향상됐다.
작년말 개통한 지방권 최초 광역철도인 대경선(’24.12~, 대구경북)도 누적 253만 명을 수송하며 지역 교통 편의성 개선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KTX-이음 및 청룡 운행 실적
새로운 고속열차 KTX-이음(’21.1월, 260km/h)과 KTX-청룡(’24.5월, 320km/h)의 이용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 추가 도입과 확대 운영을 앞두고 있어 철도 이용객의 기대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 (KTX-이음) `25년말 동해선 신규 도입 및 중앙선 운행확대, `26년 서해선 신규 도입 등
(KTX-청룡) `27년 추가도입 → 서울/수서발 경부선·호남선 등 노선에 운행 확대
KTX-이음은 ’21년 중앙선(청량리~안동) 구간에서 운행을 시작해, 중부내륙선과 강릉선으로 운행 구간을 확대했으며, 올해 상반기에는 464만 명을 수송해 전년 대비 8.6% 증가했다. 준고속 노선의 점진적 확대에 따라 이용객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22년 698만명 → `23년 791만명 → `24년 871만명 → (`25.上) 464만명(전년동기比 8.6%↑)
KTX-청룡은 차세대 고속 열차로 `24년 5월부터 경부선과 호남선에 투입, 상반기 58.9만 명을 수송(개통 이후 누적 136만 명)하여 `24년 하반기 57.6만 명 대비 2.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존 고속 열차에 비해 승차율이 월등히 높아* 더 빠른 수단에 대한 인기를 확인할 수 있다.
* (경부선) 기존 KTX 65.8% vs 청룡 89.2% / (호남선) 기존 KTX 59.7% vs 청룡 75.4%
외국 관광객들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 개선을 추진한 결과, ’25년 상반기 외국인 이용객은 284만명을 기록해 전년 동기대비 13.4% 증가하며,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특히, 최근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5.18~19, 무작위 표본 300여 명)에 따르면, 우리나라를 방문해 철도를 이용한 외국인 관광객의 만족도는 100점 만점 기준 93점으로 매우 우수한 것으로 평가를 받았다.
* 설문조사 결과, 승차권 구매 92.6점, 역사 이용 환경 92.5점, 열차 환경 92.4점, 열차 운행 95.2점, 고객 응대 92.1점
최근 국민들의 승차권 구매가 어려워지고, 특히 수요가 집중되는 시간대에 예약 후 무단으로 승차 하지 않는 이른바 “노쇼” 현상이 불편을 초래하자, 지난해 말부터 반환 수수료 조정을 시행했다. 그 결과, 좌석 수급이 원활해진 것으로 분석됐다.
* (단계적 조정) SR수수료 조정(’24.12) → 명절 수수료 조정(‘25.1) → 주말 수수료 조정(’25.5)
지난 5월부터 한 달간 승차권 판매 동향을 모니터링 한 결과, 환불 비율은 감소(코레일 ▵0.9%p, 에스알 ▵2.7%p)하고, 조기 반환율(~출발 2일전)은 증가(코레일 6.0%p, 에스알 8.5%p)한 것으로 나타났다. 잔여 좌석에 대한 재판매가 활성화되면서, 주말 기준으로 하루 KTX는 2,647석, SRT는 886석을 추가로 공급하는 것과 효과를 냈다.
국토교통부 윤진환 철도국장은 “고속철도 이용이 꾸준히 증가하며, 국민의 일상적인 교통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는 만큼, 올해 말 동해선 KTX-이음 투입과 중앙선 운행 확대, ’27년 KTX-청룡 추가 도입 등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갈 것”이며 “철도가 대한민국의 성장을 위해 힘쓰는 우리 국민들의 든든한 발이 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더 빠르고, 안전한 철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우창
기자
-
25년 만의 부산 전국체전, 이재명 대통령 참석으로 '균형 발전' 불 지폈다
-
10·15 부동산發 후폭풍…민주당, 민심과 선거 사이 '숨고르기'
-
500조 '투자 청구서' 내민 美… 韓 외환시장 '흔들'
-
미얀마 국경에 세워진 '2조 원대 범죄 제국'의 실체
-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주춤', 민주당은 '출범 첫 30%대' 쇼크
-
언론 자유의 암흑기…미 국방부 보도 통제에 기자단 집단행동으로 맞서다
-
이재명 대통령, 스웨덴 왕세녀와 미래 협력 논의
-
'범죄 소굴' 된 캄보디아…정부, 교민 구출 '합동 대응팀' 급파
-
파월의 '피벗' 선언…금리 인하 넘어 양적긴축 중단까지
-
혈세 41억은 퇴역 장성 쌈짓돈?…국방과학연구소 '그들만의 리그'
-
"국가도 가해자였다"…'MB 블랙리스트' 법원의 재평가
이명박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이 작성한 '블랙리스트'에 오른 문화예술인들에게 국가와 이명박 전 대통령, 원세훈 전 국정원장이 공동으로 손해를 배상해야 한다는 항소심 판결이 나왔다. 서울고법 민사27-2부는 17일, 배우 문성근 씨 등 36명이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대한민국은 이명박, 원세훈(전 국정원장)과 공동해 원고들에게 각 500만원을
-
야스쿠니 앞에 멈춘 다카이치, 총리직 향한 '전략적 보류'
" 차기 총리 주자로 꼽히는 다카이치 사나에 자민당 총재가 17일 시작된 야스쿠니 신사 추계 예대제에 참배하지 않았다. 총리 선출 시 외교적 영향을 고려한 판단으로 보이며, 다카이치 총재는 참배 대신 공물(다마구시) 대금을 사비로 봉납했다. 그는 각료 시절부터 참배를 이어온 대표적인 극우 성향 정치인이지만, 총리직을 염두에 둔 듯 최근에는 신중한 태도를
-
한지붕 두 회사, 국가유산청 '특혜 계약' 독식 논란
국가유산청이 사실상 한 업체가 운영하는 회사 두 곳에 일감을 몰아주면서, 그중 한 곳을 여성기업으로 위장해 계약 특혜를 줬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배현진 의원은 16일 국정감사에서 이 문제를 지적했다. 배 의원에 따르면, 국가유산청은 2020년부터 5년간 디자인 업체 D사와 S사와 총 30건의 수의계약을 맺었다. 이 중 S사는
-
'김치 발효 방해꾼'의 반전…알고 보니 숨은 조력자는 '바이러스'였다
세계김치연구소는 그동안 발효식품의 문제점으로만 여겨졌던 박테리오파지가 김치 발효 과정에서는 오히려 유익한 미생물의 생존을 돕는 '조력자'임을 규명했다고 16일 밝혔다. 박테리오파지는 세균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로, 그동안 발효를 일으키는 유익균(종균)의 성장을 방해해 발효 실패의 주범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이번 연구는 박테리오파지가 특정 미생물만
-
'북방정책' 33년 만의 재현…노태우 아들, 아버지 이어 주중대사로
이재명 정부의 첫 주중대사로 노태우 전 대통령의 장남인 노재헌(60) 동아시아문화센터 이사장이 임명됐다. 외교부는 16일 노 이사장을 주중대사로 공식 임명했다. 이로써 지난 1월 정재호 전임 대사 이임 후 약 9개월간 공석이었던 주중대사직이 채워졌다. 노 신임 대사의 발탁 배경에는 부친 노 전 대통령이 1992년 한중 수교를 이끈 '북방정책'의 상징성이
-
송도 '전력 대란', 첨단기업 투자 길목 막았다
인천경제자유구역 송도국제도시의 전력 인프라 부족 문제가 한계에 부딪히며, 기업 투자 유치에 '경고등'이 켜졌다. 국회 허종식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한국전력공사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2년 7월부터 2024년 3월까지 송도국제도시에 접수된 전력 공급 신청 25건 중 14건(56%)이 불허됐다. 특히 바이오·반도체 등 첨단 산업의 핵심인
-
대두 전쟁: 밥상 위로 번진 미-중 패권 다툼
미국과 중국 간 '대두 전쟁'이 격화하고 있다. 중국이 미국산 대두 수입을 중단하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이를 '적대행위'로 규정하며 보복성 제재를 경고했다. 이번 갈등의 배경에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주요 지지 기반인 미국 농업계의 불만이 있다. 특히 수확철을 맞아 중국이라는 거대 판로를 잃은 대두 농가의 타격이 크다. 야당인 민주당 역시
-
구멍 뚫린 세원, 불법 단말기가 삼킨 세금 441억
최근 3년간 미등록 결제대행(PG) 업체의 불법 결제 단말기를 이용한 탈세액이 441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박수영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관련 적발 건수는 총 4,371건으로 집계됐다. 탈세 규모는 2022년 30억 원(288건)에서 2023년 177억
-
동족을 노리는 검은 손... 캄보디아발 '취업 사기'의 실체
최근 캄보디아를 근거지로 한 한국인 대상 투자 사기 및 보이스피싱 범죄가 급증하고 있다. 이들 조직은 범죄에 필요한 한국인 조직원을 확보하기 위해 납치와 감금까지 서슴지 않는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부산 서부경찰서 오영훈 수사과장은 캄보디아 현지 탐문 수사 결과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밝혔다. 현재 경찰이 추적 중인 한 투자 리딩 사기 조직은
-
21조원 비트코인 몰수…미·영, '北 자금 세탁' 연루된 캄보디아 사기 제국 정조준
미국과 영국 정부가 캄보디아 등지를 거점으로 인신매매와 금융 사기를 자행해온 국제 범죄 조직을 제재했다고 14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번 조치는 전 세계적으로 금융 사기와 인신매매를 통해 막대한 이익을 취한 '프린스 그룹'(Prince Group)과 그 회장 천즈를 핵심 제재 대상으로 삼았다. 미 재무부는 프린스 그룹을 '초국가적 범죄조직'으로 지정하고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