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EU, 15% 관세 무역 합의 근접…'트럼프발 관세 폭풍' 진정되나

이우창 기자

등록 2025-07-24 08:28

- WSJ·FT 등 보도…항공기, 증류주, 의료기기 등 일부 품목 관세 면제도 논의

- 일본 합의 수준과 유사…EU '울며 겨자 먹기' 수용 분위기 속 한국 영향 촉각



독일의 한 무역항독일의 한 무역항 (사진= 로이터 연합뉴스)


미국과 유럽연합(EU)이 EU산 수입품에 15%의 관세를 부과하는 무역 합의에 근접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폭풍'이 진정 국면에 접어들지 주목된다. 이번 합의는 전날 미국과 일본 간의 무역 합의와 유사한 수준으로, 글로벌 무역 지형에 미칠 파급 효과에 관심이 쏠린다.


2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과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주요 외신 보도에 따르면, 미국은 EU 회원국의 대미 수출 상품 대부분에 15%의 관세율을 적용하는 방안을 포함한 개괄적인 무역 합의안을 놓고 EU와 협상을 진행 중이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내달 1일부터 EU에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던 30% 관세를 피하기 위한 양측의 절충안으로 풀이된다.


양측은 특히 항공기, 증류주, 의료기기 등 일부 품목에 대한 관세 면제에도 근접한 것으로 전해졌다. EU 집행위원회는 미국과의 협상 내용을 이날 회원국들에 브리핑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세율 15% 인하 합의가 이뤄지면 전날 발표된 미·일 무역 합의와 비슷한 수준이 된다. 소식통들은 미·일 무역 협상 타결로 EU가 받는 압박이 강해지면서, 무역 전쟁을 피하기 위해 '울며 겨자 먹기'로 미국의 높은 관세율을 받아들이려 하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4월부터 EU산 제품은 미국에서 기존 평균 4.8%의 관세에 더해 10%의 추가 관세(미국 명칭 '기본관세')를 적용받아왔다. 소식통들은 현재 합의에 근접한 협상안의 최소 관세율 15%가 기존 관세를 포함한 것으로 이해된다며, 이는 사실상 '현상 유지'와 다름없다고 설명했다. 


다만 현재 27.5%인 자동차 관세율은 15%로 떨어지게 된다. 로이터통신은 미국이 항공기 등 관세를 일부 양보할 수 있지만, 현재 철강 제품에 적용되는 50%의 품목 관세는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프리드리히 메르츠 독일 총리는 이날 베를린을 방문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회담 전 "(관세 협상과 관련한) 결정이 내려질 수 있다는 소식을 조금 전에 들었다"며 기대감을 보였다. 마크롱 대통령은 "우리는 안정성과, 가능한 적은 관세라는 목표를 공유한다"면서도 "(유럽이) 당연히 파트너로서 존중 받길 원한다"고 강조했다.


미국 당국자는 “FT에 상황이 유동적이며, 바뀔 수 있다”고 말했고, 유럽 당국자들도 합의에 낙관적이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최종 결정을 예측하기는 어렵다고 전망했다. 쿠시 데사이 백악관 대변인도 23일 EU에 대한 상호관세율 보도에 대해, 예상이며 유동적임을 시사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워싱턴DC에서 열린 인공지능(AI) 서밋 행사 연설에서 "우리는 EU와 심각한 협상을 진행 중이며, 그들이 미국 기업에 (시장을) 개방한다면 관세 인하를 제안했다"고 언급했다.


EU는 협상 기한인 내달 1일까지 합의를 이루지 못할 것에 대비해 최고 관세율 30%, 총 930억 유로(약 150조5천억원) 규모의 보복 관세 패키지를 계속 준비할 것이라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앞서 철강·알루미늄 관세와 자동차·상호관세에 대한 대응 조치로 각각 준비한 보복 관세 패키지를 합친 것으로, EU는 오는 24일 '보복 관세안'을 회원국 표결에 부칠 예정이다. 단, 보복 조치는 협상이 '노 딜'로 끝나고 미국이 내달부터 상호 관세를 부과할 경우에 보복 조치가 발동된다고 했다.


미국과 일본이 15%의 상호 관세율, 특히 자동차 관세율에 합의하면서, EU에도 적용될 가능성, 일본, EU와 미국 시장에서 경쟁 중인 한국에도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중국과의 무역 협상과 관련해서는 "마무리 단계에 있다"고 했다. 미국과 중국은 오는 28∼29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3차 고위급 무역 협상을 개최할 예정이며,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지난 22일 이 협상에서 지난 5월 양국이 90일간(8월12일 만료) 적용키로 한 '초고율 관세 상호 인하' 합의를 연장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우창

이우창

기자

국일일보
등록번호인천, 가00036
발행일자2016-11-16
발행인정세균
편집인박병무
편집국장이우창
연락처1688-4157
이메일nuguna365@kukilnewspaper.com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고산자로 377 한독빌딩 3층
국일미디어주식회사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