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딥마인드, 라틴어 비문 복원·연대 추정 AI '이니어스' 개발…역사 학자 연구에 혁신적 도구 제시

이우창 기자

등록 2025-07-24 17:55

- 생성형 신경망 AI '이니어스', 멸실 텍스트 복원 및 연대·장소 추정 능력 탁월

- 인간 역사 학자와 협업 시 단독 작업보다 우수한 결과…'네이처'에 연구 논문 게재

전문가 맞먹는 'AI 문헌학자'…라틴어 비문 연대 추정 도구 개발


구글 딥마인드 연구팀, '이니어스' 사용 논문 '네이처'에 발표


수병에게 발급된 트라야누스 황제 명의의 동판 제대증 문구 복원미국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소장돼 있는 라틴어 동판 조각. 기원후 113-114년에 한 로마 수병이 받은 트라야누스 황제 명의의 동판 제대증서로, 소실된 부분의 문구(오른쪽)는 인공지능(AI)으로 복원된 것이다. (사진=연합뉴스) 

구글 딥마인드가 라틴어 비문의 연대와 장소를 추정하고 멸실된 텍스트를 복원하는 데 혁신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인공지능(AI) 도구 '이니어스'(Aeneas)를 개발했다고 23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 생성형 신경망 AI는 고전학 및 고고학 연구자들에게 새로운 연구 지평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구글 딥마인드와 구글 본사 소속 연구자들, 그리고 영국 노팅엄대, 워릭대, 옥스퍼드대 등의 고전학·고고학 연구자들은 이날 과학 저널 '네이처'에 '이니어스'를 소개하는 연구 논문을 게재했다. 연구팀은 알려진 라틴어 비문들의 방대한 데이터세트를 활용해 '이니어스'를 훈련시켰다. 비문 작성 연대 추정에는 철자법, 문법, 표현, 인용된 사건이나 지명·관직명 등 복합적인 기준과 문헌에 대한 폭넓은 지식이 요구된다.


논문 저자들은 '이니어스'의 가장 주목할 만한 성과로 인간 역사학자가 이 AI의 도움을 받아 작업했을 때, 인간이나 '이니어스'가 각각 단독으로 작업할 때보다 훨씬 더 우수한 결과를 낼 수 있었다는 점을 꼽았다. 이 연구에 피험자로 참여한 23명의 역사학자들은 '이니어스'가 제시한 기존 데이터세트 내 유사 사례들 중 90%가 작업의 출발점으로서 매우 유용했다고 평가했다.


'이니어스'의 텍스트 복원 능력 시험에서는 알려진 기존 텍스트에서 일부러 글자를 삭제하여 '문제'를 만들고 복원하도록 했다. 글자 10자를 삭제한 후 복원해 본 결과, 인간 학자가 혼자 작업했을 때 오류율은 39.0%였고, '이니어스'의 유사 사례 제시 도움을 받은 인간 학자는 33.9%였다. 


반면 '이니어스'가 단독으로 내놓은 추정 결과의 오류율은 23.1%에 불과해 압도적인 우수성을 보였다. 다만 인간 학자가 '이니어스'의 유사 사례 제시와 추정 결과를 모두 참고하여 복원 작업을 한 결과의 오류율은 21.4%로, AI 단독 결과보다도 더 뛰어난 협업 시너지를 입증했다. 비문의 실제 작성 연대가 알려져 있는 경우, '이니어스'에게 연대 추정을 맡겨 테스트한 결과 실제 연대와 추정 연대의 차이는 평균 ±13년 수준으로 매우 정확했다.


연구팀은 고대 로마의 유명한 텍스트인 '신격 아우구스투스 업적록'(Res Gestae Divi Augusti)을 가지고 '이니어스'의 연대·장소 추정 능력을 시험하기도 했다. 이 글은 고대 로마제국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가 기원후 13년 9월 23일부터 기원후 14년 8월 19일 사이에 마무리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니어스'는 이 글을 장별로 나눠 작성 연대를 추정했으며, 작성 시기는 기원후 10∼20년 혹은 기원전 10년∼기원전 1년일 확률이 가장 크고 작성 장소는 로마일 공산이 가장 크다고 답했다. 이는 철자법이나 표현, 그리고 글 안에 거론된 사건, 장소, 관직명 등을 근거로 한 결과였다.


논문 연구자들은 '이니어스'가 내놓은 추정 결과에 대해 "세계 수준의 전문가가 내놓은 통찰과 잘 들어맞는다"고 자평하며, "'이니어스'는 통시적(diachronic), 언어적 패턴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전통적인 역사 연대 추정과 유사 사례 검색 방법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보완하며, 이를 통해 심층적 역사학적 분석을 위한 혁신적 도구를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이니어스' 개발은 인문학 연구 분야에 AI 기술이 접목되어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된다.




 – 저작권자 ⓒ 국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이우창

이우창

기자

국일일보
등록번호인천, 가00036
발행일자2016-11-16
발행인정세균
편집인박병무
편집국장이우창
연락처1688-4157
이메일nuguna365@kukilnewspaper.com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고산자로 377 한독빌딩 3층
국일미디어주식회사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