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차별 언어 논란 재점화…'연애' 대신 '이성교제' 사용 쟁점

이우창 기자

등록 2025-08-01 08:16

"샐러리맨·효자상품도 성차별"…생활 속 성중립 용어는?

'유모차'를 '유아차'로, '모회사'를 '지배회사'로…언어 개선 노력

우리 사회에서 '성중립 용어'를 둘러싼 논의가 최근 다시 불붙었다. 발단은 서울시 시립청소년성문화센터가 추진한 '표준 운영 매뉴얼' 개정이었다. 해당 매뉴얼에 '연애'를 '이성교제'로, '포궁'을 '자궁'으로 바꿔 쓰라는 지침이 포함되면서 쟁점으로 떠올랐다.



성평등언어(CG)성평등언어(CG) (사진= 연합뉴스TV 제공)


이는 성별 고정관념을 탈피하고 포용적인 언어를 사용하려는 시도가 계속되는 가운데, 이에 대한 반발 역시 만만치 않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이와 유사한 논란은 2012년에도 있었다. 당시 국립국어원은 "이성애 중심적 언어가 성 소수자를 차별한다"는 제안을 받아들여,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사랑'의 정의를 '남녀'가 아닌 '어떤 상대'의 매력에 끌리는 마음으로 변경했다. 그러나 종교계를 중심으로 항의가 잇따르자 2년 만에 '사랑'의 주체를 다시 '남녀'로 되돌려 놓았다.


성중립 용어란 특정 성별을 지칭하지 않거나 성별 고정관념을 배제해 모든 사람이 불편함 없이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한 언어를 말한다. 국립국어원의 연구에 따르면, 성차별적 언어는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첫째, 한 성이 전체를 대표하는 경우다. '샐러리맨'이나 '효자상품'처럼 남성형이 남녀를 모두 포괄하거나, '자매결연'이나 '모교'처럼 여성형이 전체를 아우르는 표현이 이에 속한다.


둘째, 성별을 불필요하게 강조하는 경우다. 직업명 앞에 '여'를 붙여 '여배우', '여성과학자'라고 하거나, '청일점', '남자 리듬체조선수' 등과 같이 굳이 성별을 명시하는 경우다.


셋째, 성별 고정관념을 드러내는 경우다. '터프가이'나 '처가', '새댁'처럼 성별에 따라 기대하는 고정관념적 속성을 강조하는 표현들이 포함된다.


넷째, 특정 성을 비하하는 경우다. '된장녀', '쩍벌남' 등 특정 성별에 대한 부정적 편견을 담은 표현들이 이 유형에 해당한다.


2025 서울 유아차 런2025 서울 유아차 런 (사진= 연합뉴스)

이처럼 성차별적 언어들을 고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여러 제안들이 제시됐다. 서울시 여성가족재단이 발표한 개선안에는 '여배우'를 '배우'로, '여자고등학교'를 '고등학교'로 바꾸자는 내용이 담겼다. 이는 남성형이 언어의 기본이 되는 관행에서 벗어나기 위한 취지다. 


또한, 태아가 성장하는 기관인 자궁(子宮)의 한자에 '아들 자(子)'가 들어가는 점을 들어, 대신 '세포를 품은 집'을 의미하는 '포궁(胞宮)'을 사용하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법률 분야에서도 성중립 용어 사용 움직임이 있었다. 한국법제연구원은 '모회사'와 '자회사'가 특정 성별이 두드러지는 표현이라며, 각각 '지배회사', '종속회사'로 바꾸자고 했다. 또한 아이를 태우는 '유모차'는 육아가 여성만의 일이라는 오해를 줄 수 있어 '유아차'로, 결혼을 하지 않은 상태를 이르는 '미혼' 대신 '비혼'이나 '일인생활'과 같은 중립적 표현을 발굴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우리 사회는 특정 성별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을 배제하고, 모두가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언어를 찾기 위해 지속적으로 고민하고 있다.





  – 저작권자 ⓒ 국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이우창

이우창

기자

국일일보
등록번호인천, 가00036
발행일자2016-11-16
발행인정세균
편집인박병무
편집국장이우창
연락처1688-4157
이메일nuguna365@kukilnewspaper.com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고산자로 377 한독빌딩 3층
국일미디어주식회사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