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빅브라더' 팔란티어 두고 격론... 개인정보 vs 국가 안보

이우창 기자

등록 2025-08-08 07:35

사생활 중시 독일 사회, AI 도입 놓고 '트로이의 목마' 논쟁 팽팽



알렉스 카프 팔란티어 CEO알렉스 카프 팔란티어 CEO (사진= AFP 연합뉴스) 


독일이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기업 팔란티어의 도입을 둘러싼 치열한 논쟁에 휩싸였다. 흩어진 데이터를 분석하고 시각화해 범죄자와 테러리스트를 추적한다는 이 회사의 프로그램을 독일 정부 치안기관이 사용해야 하는지를 두고 내각부터 국민까지 의견이 팽팽하게 맞섰다. 구글이나 애플 대신 팔란티어가 요즘 독일에서 가장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이유다.


이 논쟁은 개인정보 보호와 국가 안보라는 핵심 가치가 충돌하면서 불거졌다. 개인의 사생활을 무엇보다 중요하게 여기는 독일인들에게 '빅브라더'를 떠올리게 하는 팔란티어의 기술은 즉각적인 반감을 샀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독일 국민의 개인정보가 대서양을 넘어 미국으로 유출될지 모른다는 우려가 커졌고, 이 프로그램이 사실상 미국 정보기관의 '트로이의 목마'라는 주장도 공개적으로 제기되었다.


실제로 팔란티어의 주요 고객은 미국 국방부와 연방수사국(FBI), 이민세관단속국(ICE) 등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독일 자유권협회(GGF)는 "바이에른은 고담시티가 아니다"라는 구호를 내걸고 헌법에 보장된 정보 자기결정권 침해를 강하게 비판했다. 


이는 오사마 빈라덴 사살작전에 쓰인 것으로 알려진 팔란티어의 핵심 플랫폼 '고담(Gotham)'을 겨냥한 비판이었다. 결국 이 소프트웨어 도입을 막아달라는 헌법소원이 제기되고, 동일한 내용의 청원에 25만 명이 서명하는 등 반대 여론은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


팔란티어의 창업자 피터 틸과 알렉스 카프 모두 독일계 이민자 가정 출신이라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그러나 독일인 할아버지를 둔 트럼프처럼 이들은 정작 고국에서 환영받지 못하는 처지다. 특히 알렉스 카프는 팔란티어 설립 전 독일 프랑크푸르트괴테대학에서 위르겐 하버마스의 지도를 받아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인간 소외를 경계했던 프랑크푸르트학파의 학문적 영향을 받은 그가 개인 데이터를 분석하는 사업을 한다는 사실은 씁쓸한 역설로 다가온다.


카프는 팔란티어에 대한 비판에 대해 "좌파 친구들은 우리 일을 싫어한다. 팔란티어가 막아낸 모든 공격이 실제로 이뤄졌다면 좌파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반박에 나섰다. 그는 네오마르크스주의자를 자처하며 미국 대선에서 민주당 카멀라 해리스를 공개적으로 지지했다. 반면 공동 창업자인 피터 틸은 골수 트럼프 지지자이자 '페이팔 마피아'의 일원이다.


'좌우를 아우르는' 방산업체라는 딜레마에 대해 카프는 해결책으로 헤겔의 변증법을 꺼내 들었다. 그는 "팔란티어의 핵심은 나와 피터가 회사를 만들 때 독일의 고전적 접근법을 따랐다는 점이다. 우리는 모두 모순의 지양이라는 헤겔의 개념에 큰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헤겔 변증법의 발상지인 독일에서는 이러한 언급을 영리한 영업 수단으로 평가절하했다. 주간지 슈피겔은 카프가 프랑크푸르트에서 훈련받은 변증법적 사고를 활용해 회사에 대한 비판을 오히려 끄집어낸 뒤 무력화하는 능력을 갖췄다고 꼬집었다.



하지만 반대 여론이 거세도 팔란티어의 기술 윤리에 맞설 뚜렷한 대안을 제시하는 데는 한계가 명확했다. 테러 위협이 일상이 된 유럽의 현실 속에서 팔란티어가 제공하는 기술의 실용성을 마냥 무시하기는 힘든 상황이다. '디지털 주권'을 둘러싼 논쟁이 반복되지만, 독일은 여전히 미국 기술에 깊이 의존하고 있어 마땅한 대체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이달 기준 독일의 모바일 검색 점유율은 구글이 93.4%에 달한다. 팔란티어 도입을 둘러싼 독일의 복잡한 셈법은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 저작권자 ⓒ 국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이우창

이우창

기자

국일일보
등록번호인천, 가00036
발행일자2016-11-16
발행인정세균
편집인박병무
편집국장이우창
연락처1688-4157
이메일nuguna365@kukilnewspaper.com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고산자로 377 한독빌딩 3층
국일미디어주식회사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