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측과 오해 속에 흔들린 여가부의 정체성

이우창 기자

등록 2025-08-09 08:08

'여'는 '여성 여'(女)... 영문명 'Gender'로 인한 해묵은 논란의 전말

1988년 '정무장관실'부터 '여성가족부'까지, 격변의 역사



여성가족부 로고여성가족부 로고 (사진= 여성가족부 제공)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여성가족부(이하 여가부) 명칭에 대한 해묵은 논란이 또다시 불거졌다. '여가부의 '여'는 '같을 여'(如)'라는 주장이 확산됐지만, 이는 사실과 달랐다. 'Ministry of Gender Equality'라는 영문 명칭에서 비롯된 오해로, 여가부의 '여'는 '여성 여'(女)가 맞았다. 격변의 세월을 거쳐온 여가부의 발자취를 되짚어봤다.


여가부 관계자에 따르면, 명칭을 둘러싼 논란은 수십 년간 이어져 왔다. 영문명에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가 사용되면서 '같을 여'(如)라는 억측이 불거지곤 했다. 하지만 여가부 측은 "'여'는 여성을 뜻하는 한자가 맞다"고 재차 강조했다. 영문명에 'Women' 대신 'Gender'를 쓴 것은 남성과 여성의 역할을 모두 아우르는 포괄적 개념을 담기 위함이었으며, 이는 당시 여성특위 위원장의 제안으로 채택됐다.




 김대중 대통령이 2001년 1월 29일 오후 청와대에서 한명숙여성부장관에게 임명장을 수여하는 모습. (사진= 연합뉴스)


여가부의 변천사를 살펴보면 명칭의 뿌리를 확인할 수 있다. 1988년 여성정책을 총괄하는 정무장관(제2)실로 시작해, 1998년에는 대통령 직속 여성 특위로 위상이 격상됐다. 2001년 김대중 정부는 여성특위를 여성부로 승격시켰다. 이후 2005년 복지부로부터 보육 및 가족정책 업무를 넘겨받아 여성가족부로 조직이 확대됐다.




 열린우리당 김희선 의원과 이미경의원등 관계자들이 2003년 12월 26일 여성부에 한나라당 이경재의원이 '성희롱 발언'을 했다며 '남녀차별행위(성희롱)에 대한 시정신청서'를 제출 하기의해 청사를 들어오고 있는 모습.  (사진= 연합뉴스)


그러나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2008년, 가족정책 기능이 복지부로 재이관되며 2년 만에 다시 '여성부'로 축소되는 우여곡절을 겪었다. 2010년에는 보건복지가족부로부터 가족·청소년 업무를 넘겨받아 여성가족부 명칭을 되찾았다.




성평등 정책 강화 촉구하는 참석자들 8일 서울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열린 여성가족부 폐지 저지와 성평등 정책 강화를 위한 범시민사회 전국행동 발족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성평등 전담부처 강화를 촉구하는 손피켓을 들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최근 여가부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폐지 공약으로 존폐 위기에 직면했다. 야당의 반대로 명맥은 유지됐으나, 이전 정부에서 기능이 축소되었고 장관 자리는 1년 6개월간 공석 상태였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이 후보 시절 '성평등가족부'로 확대·개편하겠다는 공약이 있었던 만큼, 향후 부처의 역할이 강화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 저작권자 ⓒ 국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이우창

이우창

기자

국일일보
등록번호인천, 가00036
발행일자2016-11-16
발행인정세균
편집인박병무
편집국장이우창
연락처1688-4157
이메일nuguna365@kukilnewspaper.com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고산자로 377 한독빌딩 3층
국일미디어주식회사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