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노이 '오토바이 금지령' 초읽기, 서민 생계 '직격탄'

이우창 기자

등록 2025-08-09 08:22

대기오염 대책, 내연기관 오토바이 운행 규제... 전환 비용과 인프라 부족 등 현실적 난관 봉착

[특파원 시선] 하노이, 전기오토바이로 '최악 대기오염' 벗어날까


내년 7월부터 도심지 내연기관 오토바이 운행 금지 '강수'


하노이의 오토바이 물결하노이의 오토바이 물결 지난달 23일(현지시간)  (사진=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베트남의 수도 하노이가 심각한 대기오염 문제에 맞서 내연기관 오토바이 운행 금지라는 강력한 규제에 나섰다. 그러나 생계수단인 오토바이를 교체해야 하는 서민층의 부담이 커지면서 정책 시행 과정에 난항이 예상된다.


지난달 베트남 정부는 하노이 도심 약 31㎢ 구역에서 화석연료 오토바이 운행을 내년 7월부터 금지하는 대책을 발표했다. 이어 2028년 1월부터는 금지 구역을 확장하고 내연기관 자동차 일부 운행도 제한하기로 했다. 이러한 내연기관 교통수단 규제는 베트남에서 처음 시도되는 조치다.


이러한 정책은 하노이의 대기오염이 '위험' 수준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지난 1월 초 하노이의 초미세먼지(PM2.5) 일일 농도는 세계보건기구(WHO) 안전 권고 기준의 무려 18배에 이르는 266µg/m³를 기록하며 세계 최악의 수준을 보였다. 하노이시는 대기오염 물질의 절반 이상이 약 700만 대에 달하는 내연기관 오토바이에서 비롯된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수백만 대의 오토바이가 1년 안에 교체될 수 있을지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오토바이 운전자 대다수가 하루 벌어 하루 먹고사는 서민인 만큼, 멀쩡한 오토바이를 헐값에 팔고 최소 1천만 동(약 53만원)이 넘는 전기 오토바이를 새로 구매하는 것은 큰 부담이다.


네 대의 스쿠터를 모두 바꿔야 하는 주부 당 투이 하인(52)씨는 AF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제대로 된 준비도 없이 왜 우리에게 먼저 짐을 지우느냐"고 불만을 표출했다. 


오토바이 택시 기사 부이 반 꽁(36)씨 역시 "하루 수백 ㎞를 주행해야 하는 내 일에 적합하지 않은 전기 오토바이를 어떻게 감당할 수 있겠느냐"며 어려움을 토로했다.


충전 인프라 부족 또한 큰 문제로 지적됐다. 하노이 중심가 꺼우저이 지역 주민 응우옌 린씨는 관영 베트남뉴스통신(VNA)에 "집 지하 주차장에서 충전이 불가능해 쇼핑센터까지 가야 하는데, 비용과 불편이 크다"고 전했다.


이에 하노이 당국은 전기 오토바이 전환 보조금(1인당 최소 300만 동)을 지급하고 버스 노선을 확충하는 등 보완책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오토바이 배달원 레 반 틴(58)씨는 스트레이츠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이 규제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부과되는 세금과 같다"며 "수백만 대의 휘발유 오토바이를 5년 뒤에도 없애기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국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이우창

이우창

기자

국일일보
등록번호인천, 가00036
발행일자2016-11-16
발행인정세균
편집인박병무
편집국장이우창
연락처1688-4157
이메일nuguna365@kukilnewspaper.com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고산자로 377 한독빌딩 3층
국일미디어주식회사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