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화폐에 새겨진 최초의 한국계 인물, 스테이시 박 밀번

이우창 기자

등록 2025-08-10 21:52

장애인 권리 운동에 평생을 바친 활동가, 25센트 동전의 주인공이 되다



미국 조폐국이 11일부터 유통할 스테이시 박 밀번 헌정 25센트 동전. 미국 조폐국이 11일부터 유통할 스테이시 박 밀번 헌정 25센트 동전. 미 연방 조폐국(US Mint)


한국계 미국인 인권운동가 스테이시 박 밀번(Stacey Park Milburn·1987~2020)을 기리는 25센트 동전(쿼터)이 11일(현지시간)부터 유통됐다. 이로써 한국계 인물이 미국 화폐에 새겨진 최초의 사례가 됐다.


미 조폐국은 '아메리칸 위민 쿼터스 프로그램'을 통해 밀번의 삶과 유산을 기념하는 동전을 주조했다고 10일 밝혔다. 이 캠페인은 2022년부터 올해까지 미국 사회 발전에 공헌한 여성 20명을 쿼터 뒷면에 등장시키는 프로젝트로, 밀번은 그중 19번째 헌정 대상자가 됐다.


밀번은 장애인 인권 운동의 초석을 다진 활동가였다. 서울에서 주한미군 아버지와 한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그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에서 성장했다. 선천성 근육 퇴행성 질환인 근이영양증을 앓았던 그는 어린 시절 자신의 장애를 인지하지 못했다. 그러나 반복된 수술과 치료 과정을 거치며 자신과 다른 이들의 차이를 깨달았다.


이후 밀번은 지역 사회의 다른 장애인들과 교류하며 인권 운동을 시작했다. 16세에 이미 노스캐롤라이나주의 여러 장애인 관련 위원회에서 활동하며 두각을 드러냈고, 2007년 스무 살의 나이에는 10월을 '장애인 역사 및 인식의 달'로 지정하고 모든 학교에서 장애인 역사를 교육하도록 하는 주법 제정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




스테이시 박 밀번스테이시 박 밀번 (사진= 출처 미국 국립여성역사박물관)


밀번은 2011년 장애인 권리 운동의 역사적 중심지였던 캘리포니아 베이 지역으로 이주했다. 그곳에서 '장애인 정의 문화 클럽'(Disability Justice Culture Club)을 설립하며 '장애인 정의' 운동을 구체화했다. 이 운동을 통해 그는 유색인종, 이민자, 성소수자, 노숙자 등 장애인 중에서도 더욱 소외된 계층의 권익 증진을 위해 힘썼다.


2014년에는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지적장애인위원회 위원으로 지명돼 정책 자문 활동을 펼쳤다. 신장암 치료 중에도 열정적으로 활동하던 그는 2020년 5월 19일, 자신의 33번째 생일날 수술합병증으로 세상을 떠났다.


조폐국은 밀번을 '리더이자 비전가, 문제해결자이며 장애인 정의를 위한 맹렬하고도 연민 어린 활동가'로 평가했다. 동전에는 전동휠체어에 앉아 연설하는 그의 모습이 새겨졌다. 조폐국은 이 디자인이 '진정성 있는 생각의 교환과 연대의 구축을 상징한다'고 밝혔다. 동전 테두리에는 'DISABILITY JUSTICE'와 'Stacey Park Milburn'이라는 문구가 각인되었다.






– 저작권자 ⓒ 국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이우창

이우창

기자

국일일보
등록번호인천, 가00036
발행일자2016-11-16
발행인정세균
편집인박병무
편집국장이우창
연락처1688-4157
이메일nuguna365@kukilnewspaper.com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고산자로 377 한독빌딩 3층
국일미디어주식회사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