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재무장관, 일본에 금리 인상 전격 압박… "인플레이션 뒤처져"

이우창 기자

등록 2025-08-14 19:26

미 고위당국자 이례적 발언에 시장 요동…엔화 강세·국채금리 상승



베선트베선트 (사진= 로이터 연합뉴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일본 중앙은행의 인플레이션 대응이 뒤처져 있다며 금리 인상을 압박하고 나섰다. 미국 정부 고위 당국자가 동맹국의 통화정책에 대해 이례적으로 공개적인 비판을 내놓자 시장은 즉각 반응했다.


베선트 장관은 13일(현지시간) 블룸버그 TV 인터뷰에서 "일본은 인플레이션 문제를 안고 있다"며 "금리를 인상해 인플레이션 문제를 통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 문제와 관련해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와도 대화를 나눴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러한 베선트 장관의 시각은 우에다 총재의 입장과는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 일본은행은 지난달 말 기준금리를 '0.5% 정도'로 4회 연속 동결했으며, 우에다 총재는 직후 기자회견에서 금리 정책이 뒤처져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국의 긴축 압박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미 재무부는 지난 6월 의회 보고서에서도 "일본은행이 자국 내 기초여건에 맞춰 정책을 추진함으로써 달러 대비 엔화 약세의 정상화와 양국 무역의 구조적 균형 재편을 뒷받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무디스 애널리틱스의 스테판 앙그릭 이코노미스트는 베선트 장관의 발언을 "인플레이션의 본질과 일본은행이 원하는 것에 대한 일반적 비판"으로 평가했다. 그는 "우에다 총재는 국내 임금 상승과 수요 주도 인플레이션을 확인한 후에야 움직일 것"이라며, 금리를 "약간 인상할 수는 있지만 베선트가 원하는 수준까지는 아닐 것"이라고 분석했다.


베선트 장관의 발언 이후 시장은 즉각 요동쳤다. 올해 10월이나 내년 1월 금리 인상 가능성이 제기되며 일본 국채 수익률도 소폭 상승했다. 이날 일본의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0.04%포인트 상승한 1.55%를 기록했고, 달러당 엔화 환율은 146.4엔까지 떨어지며 엔화 강세를 보였다.


도쿄 미즈호 증권의 쇼키 오모리 수석 글로벌 전략가는 "미국과 일본의 단기 금리차가 축소될 것이라는 기대를 보여준다"고 시장 반응을 풀이했다.


한편, 베선트 장관은 이날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도 금리 인하를 압박하는 발언을 내놨다. 또한 러시아산 원유를 수입하는 인도에 대해 "일이 잘 풀리지 않으면 제재를 취하거나 2차 관세를 올릴 수 있다"고 경고해 파장이 예상된다.






– 저작권자 ⓒ 국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이우창

이우창

기자

국일일보
등록번호인천, 가00036
발행일자2016-11-16
발행인정세균
편집인박병무
편집국장이우창
연락처1688-4157
이메일nuguna365@kukilnewspaper.com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고산자로 377 한독빌딩 3층
국일미디어주식회사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