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의 '광폭 행보'…빅테크·통상 '두 마리 토끼' 잡았다

이우창 기자

등록 2025-08-15 04:07

17일간의 강행군 속 반도체 '잭팟'…'민간 외교관' 역할도 톡톡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이 약 2주간의 미국 출장을 마치고 15일 새벽 인천 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17일간의 미국 일정을 소화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15일 새벽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했다. 이 회장은 이번 방미 기간 동안 테슬라, 애플과 같은 세계적인 기술 기업들과의 파트너십을 공고히 하고, 한미 간 통상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등 광폭 행보를 보였다.


자정을 넘겨 공항에 모습을 드러낸 이 회장은 방미 성과를 묻는 취재진에게 "내년 사업 준비하고 왔다"고 함축적으로 답했다. 구체적인 출장 내용이나 투자 계획과 같은 민감한 질문에는 침묵을 지킨 채 현장을 떠났다.


지난달 29일 워싱턴으로 향했던 이 회장은 현지에 머무는 동안 미래 먹거리 발굴과 핵심 인사들과의 네트워크 다지기에 총력을 기울인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출국 직전 성사된 테슬라와의 23조 원 규모 파운드리 계약에 대한 후속 조치가 주요 의제였을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텍사스주 테일러 신공장에서 테슬라의 차세대 AI 반도체 'AI6'를 위탁 생산한다. 재계에서는 단발성 계약을 넘어, 양사의 기술 시너지와 생산성 극대화를 위한 포괄적인 협력 방안이 논의됐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해당 계약이 "시작에 불과하다"며 실제 생산 물량은 이를 훨씬 상회할 것이라고 공언한 바 있다. 그는 또한 "직접 생산 라인을 방문해 진행 속도를 높이겠다"고 말하며 양사 협력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내기도 했다.




미국에 건설 중인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미국에 건설 중인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사진= 삼성전자 제공)


이 회장의 방미 기간, 애플의 차세대 반도체를 오스틴 공장에서 생산한다는 소식 또한 들려왔다. 업계는 이 반도체가 차기 아이폰의 핵심 부품인 이미지 센서(CIS)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며, 이번 계약 체결의 막후에 이 회장의 역할이 결정적이었을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더불어 이 회장은 민간 외교관으로서의 역할도 톡톡히 해냈다. 지난달 31일, 한국산 제품에 대한 상호관세를 15%로 낮추는 내용의 한미 통상협상이 타결된 배경에는, 이 회장이 구축한 폭넓은 인적 네트워크와 반도체 공급망에서의 리더십이 긍정적으로 작용했다는 평가다.


한편, 이 회장은 짧은 국내 일정을 소화한 뒤 오는 24일, 한미 정상회담 경제사절단의 일원으로 9일 만에 다시 미국행 비행기에 오른다. 이번 출장 기간 동안 심도 있게 논의된 공급망 협력 강화 방안과 현지 투자 확대 계획의 윤곽이 이때 드러날 것으로 전망된다.






– 저작권자 ⓒ 국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이우창

이우창

기자

국일일보
등록번호인천, 가00036
발행일자2016-11-16
발행인정세균
편집인박병무
편집국장이우창
연락처1688-4157
이메일nuguna365@kukilnewspaper.com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고산자로 377 한독빌딩 3층
국일미디어주식회사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