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 '소비쿠폰' 사용 불편 해소...하나로마트 사용처 대폭 늘린다

이우창 기자

등록 2025-08-08 16:23

행안부, 지자체장 요청 존중...소상공인 살리기 목적



민생회복 소비쿠폰 10문 10답행정안전부 한순기 지방재정경제실장이 15일 정부세종청사 민원동 공용브리핑실에서 2025년 8회 정책설명회 '민생회복 소비쿠폰 10문 10답'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농어촌 지역 주민들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불편이 해소될 전망이다. 행정안전부가 지역 내 다른 마트나 슈퍼에 신선식품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따라 하나로마트를 사용처로 대폭 확대하기로 결정했다.


한순기 행안부 지방재정경제실장은 8일 기자간담회에서 "도서·산간 지역 주민들의 쿠폰 사용에 대한 불편함이 크다"며 "마트 규모가 작아 고기, 채소, 과일 등 신선식품을 구매하기 어렵다는 목소리가 많았다"고 전했다. 이에 행안부는 이른 시일 내에 이들 지역의 하나로마트를 사용처로 추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행안부는 지방자치단체의 시장과 군수가 지역 사정을 잘 아는 만큼, 이들의 추가 지정 요청을 적극 수용하기로 했다. 현재 소비쿠폰 사용이 가능한 하나로마트는 전체 2,208개 중 121곳(약 5%)에 불과하다. 지자체의 의견을 존중하는 정부 방침에 따라 앞으로 사용 가능 매장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소비쿠폰 사용이 안경점이나 학원에 편중된 현상에 대해 한 실장은 "7월 말은 학생들이 방학을 하고 학원비를 납부하는 시기적·계절적 특성이 반영된 결과"라고 분석했다.


그는 "쿠폰 지급 후 2주간의 데이터만으로 소비를 앞당기는 효과를 판단하기는 어렵다"면서도 "온라인이나 대형마트 대신 오프라인 매장을 찾게 하는 것은 영세 소상공인에게 큰 도움이 되는 의미 있는 지표"라고 자평했다. 이어 "연 매출 30억 원 이하로 사용처를 제한한 것은 소규모 음식점이나 동네 교습소 등 영세 소상공인을 살리기 위한 취지"라고 강조했다.


지역별 사용률은 대부분 50% 초·중반대였지만, 세종시는 48.44%로 전국 광역지자체 중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한 실장은 원인에 대해 "정확한 분석은 아직이지만, 서울로 출퇴근하는 공무원이 많아 세종에 머무는 시간이 적기 때문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






– 저작권자 ⓒ 국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이우창

이우창

기자

국일일보
등록번호인천, 가00036
발행일자2016-11-16
발행인정세균
편집인박병무
편집국장이우창
연락처1688-4157
이메일nuguna365@kukilnewspaper.com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고산자로 377 한독빌딩 3층
국일미디어주식회사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