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서울코어' 10년 만에 본궤도… 2030년 입주 목표

이우창 기자

등록 2025-11-16 13:33

글로벌 비즈니스 허브 '콤팩트시티' 구현… 이달 말 착공

연 1만 2천 명 고용·3.3조 생산 유발… '글로벌 헤드쿼터' 유치 본격화



용산국제업무지구 조감도용산국제업무지구 조감도. 서울시 제공


서울 용산 일대를 글로벌 비즈니스 허브로 개발하는 '용산국제업무지구(용산서울코어)' 도시개발사업이 개발 계획 검토 10년 만에 이달 말 첫 삽을 뜬다.


서울시는 오는 27일 용산구 한강로3가 40-1 일대에서 오세훈 서울시장과 시민 등 약 5천 명이 참석하는 기공식을 개최한다고 16일 밝혔다. 


시는 지난해 2월 개발계획안을 발표했으며, 오는 20일 실시계획인가 고시가 완료되면 착공을 위한 모든 행정절차가 마무리된다. 약 45만 6천㎡ 규모의 해당 부지는 서울역-용산역-한강변 축을 잇는 '입체복합수직도시' 비전 실현을 목표로 한다.




용산국제업무지구 그린스퀘어 조감도용산국제업무지구 그린스퀘어 조감도. 서울시 제공


사업은 공익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공공기관인 코레일과 서울주택도시공사(SH)가 시행을 맡았다. 공공이 2028년까지 도로, 공원 등 기반시설 조성을 완료하면, 이후 민간이 개별 필지를 개발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용산국제업무지구는 ▲국제업무 ▲업무복합 ▲업무지원 3개 구역으로 구성된다. 시는 핵심인 국제업무존의 용도지역을 기존 '제3종일반주거'에서 '중심상업지역'으로 상향해 고밀복합개발을 유도한다. 


업무, 주거, 녹지, 문화생활이 수직적으로 융합되어 모든 활동이 도보권 내에서 해결되는 '콤팩트시티'를 구현하는 것이 목표다.


서울시는 2030년대 초 첫 글로벌 헤드쿼터 입주를 목표로, 정부 및 사업시행자와 함께 유수 기업 유치 활동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용산국제업무지구 기공식 포스터용산국제업무지구 기공식 포스터. 서울시 제공

신속한 주택공급도 추진한다. 이르면 2027년 말 주택 분양을 목표로 하며, 기존 계획된 1만 3천 호(지구 내 6천+주변 7천) 외에 물량 확대를 검토한다. 


시는 기반시설 수용 범위 내에서 국토교통부 등 관계기관과 협의할 방침이나, 글로벌 비즈니스 중심지라는 핵심 기능은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는 이번 개발로 연간 1만 2천 명의 고용과 3조 3천억 원의 생산 유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임창수 서울시 미래공간기획관은 "서울의 미래 100년을 여는 도심 재창조 프로젝트"라며 "서울을 세계 5대 글로벌 도시로 도약시키는 결정적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국일일보, 무단전재•재배포금지, AI 학습 및 활용금지]


이우창

이우창

기자

국일일보
등록번호서울 가 50176
발행일자2016-11-16
발행인정세균
편집인박병무
편집국장이우창
연락처1688-4157
FAX050)4427-6389
이메일nuguna365@kukilnewspaper.com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고산자로 377 한독빌딩 3층
국일미디어주식회사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