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2기 '관세 폭탄', 美 경제 강타 예고

이우창 기자

등록 2025-08-03 15:28

91년만 최고 관세율, 물가 1.8% 상승... 전문가 "승자는 트럼프뿐, 모두가 패자"



미국 뉴욕주의 한 매장에 진열된 운동화미국 뉴욕주의 한 매장에 진열된 운동화 (사진= 뉴욕 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2기 행정부가 '관세 전쟁'을 시사함에 따라 미국 경제에 큰 파장이 예상된다. AP통신은 2일(현지시간) 예일대 예산연구실(TBL)의 분석을 인용하여,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미국 경제와 소비자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도했다.


예일대 TBL 분석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조치 발표로 인해 미국의 평균 유효관세율이 올해 초 2.5%에서 7개월 만에 18.3%로 급격히 올랐다. 이는 1934년 이래 91년 만의 최고 수준이다.


이처럼 가파른 관세 인상으로 인해 미국 물가가 단기적으로 1.8% 오를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2025년 달러 가치 기준으로 가구당 연간 수입이 2,400달러(약 330만 원) 줄어드는 것과 같은 타격을 줬다. 


물가 상승은 특히 의류와 직물 부문에서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됐다. AP통신은 미국에서 유통되는 의류와 신발의 97%가 수입품이라는 점을 지적하며, 관세 부과가 단기적으로 신발 가격을 40%, 의류 가격을 38%까지 끌어올릴 것이라고 예측했다. 


TBL은 장기적으로도 신발 가격은 19%, 의류 가격은 17% 오른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관세 부과 조치는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2025년과 2026년에 각각 0.5%포인트 감소가 예상되며, 그 이후로도 매년 0.4%포인트씩 감소가 이어질 전망이다. 이는 2024년 달러 가치 기준으로 연간 1,200억 달러(약 170조 원)의 GDP 감소에 해당했다.



프놈펜 시장의 옷 가게2025년 8월 1일 캄보디아 프놈펜에 있는 한 시장의 옷 가게 모습. (사진= 프놈펜 로이터 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외국에 부과하는 세금인 것처럼 묘사했지만, 실제로는 미국 내 수입업체가 관세를 내고 이를 가격 인상으로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방식이다. 골드만삭스의 경제 분석가들은 관세에 따른 비용 상승 중 5분의 1만 다른 국가 수출업자들이 흡수했고, 나머지 5분의 4는 미국인과 미국 기업들이 부담했다고 추산했다.


뉴욕법학전문대학원(NYLS) 국제법센터의 배리 애플턴 공동소장은 "수입관세는 소비세의 일종이므로 소득이 낮은 사람들에게 더 큰 영향이 있다"며 "운동화, 백색가전, TV, 비디오 게임기 등 미국에서 만들어지지 않는 물건들의 가격이 올라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이번 관세 조치의 대상이 된 국가들은 브라질(50%), 시리아(41%), 라오스·미얀마(각 40%), 스위스(39%), 캐나다·세르비아·이라크(35%) 등으로, 부국과 빈국이 모두 포함되었다. 세계무역기구(WTO) 사무부총장을 역임했던 앨런 울프 선임연구원은 이번 상황의 가장 큰 승자를 트럼프 대통령으로 꼽았으며, 미국 소비자들을 '큰 패배자'라고 규정했다. 애플턴 공동소장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승자는 아무도 없으며 모두가 패자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국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이우창

이우창

기자

국일일보
등록번호인천, 가00036
발행일자2016-11-16
발행인정세균
편집인박병무
편집국장이우창
연락처1688-4157
이메일nuguna365@kukilnewspaper.com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고산자로 377 한독빌딩 3층
국일미디어주식회사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