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릭'이 '함성'으로…SNS 타고 번지는 Z세대의 혁명

이우창 기자

등록 2025-10-03 09:14

인도네시아에서 모로코까지…부패한 권력에 맞선 청년들의 글로벌 연대



 지난 9월 9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의회 건물 앞에서 학생 시위대가 구호를 외치고 있다. AP=연합뉴스


1990년대 중후반에서 2000년대 초반에 태어난 Z세대의 분노가 전 세계를 뒤흔들고 있다. 동남아시아, 남미, 아프리카 등 대륙을 가리지 않고 청년들은 소셜미디어(SNS)를 무기로 기득권의 부패와 경제적 불평등에 맞서고 있다.



 지난 9월 9일 네팔 카트만두 싱하 두르바르 행정단지 앞에 시위대가 모여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아시아: 의원 특혜와 SNS 통제에 분노 폭발

지난 8월 인도네시아에서는 하원 의원들이 1인당 월 430만 원 상당의 주택 수당을 받은 사실이 알려지자 대규모 시위가 발생했다. 전국적으로 번진 시위는 10명의 사망자를 낳았고, 결국 정부와 의회는 특혜 폐지와 내각 개편을 단행했다.


네팔에서는 정부가 유튜브 등 26개 SNS 접속을 차단하자 폭동에 가까운 격렬한 시위가 일어났다. 이는 특권층의 부패와 계속되는 경제난에 좌절감을 느끼던 Z세대의 분노에 불을 지핀 격이 됐다. 이틀간 이어진 시위로 경찰 3명을 포함해 72명이 숨지고 2천여 명이 다쳤다.




 지난 9월 21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시위 도중 참가자들이 불타는 오토바이 앞에서 주먹을 치켜들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이 외에도 동티모르에서는 국회의원에게 고가의 SUV 차량을 지급하려는 예산 편성에 대학생들이 반발했고, 필리핀에서는 홍수 예방 사업 비리가 발각되면서 정치권 전체를 규탄하는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다.


시위의 불길, 남미·아프리카로

남미와 아프리카에서도 Z세대가 주도하는 시위가 이어졌다. 파라과이에서는 청년들이 '우리가 99.9%다'라는 구호 아래 거리로 나와 공공 서비스 부실과 부패를 비판하며 예산 투명성을 요구했다. 페루에서도 청년들이 연금 가입 의무화와 고용 불안정에 항의하며 정부를 규탄했다.




 지난 9월 28일 페루 리마에서 열린 시위 도중 시위 참가자들이 펜스를 무너뜨리고 있다. EPA=연합뉴스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에서는 잦은 단수와 단전에 항의하는 청년층 시위가 발생했다. 경찰의 강경 진압으로 최소 22명이 숨졌음에도 시위는 계속되고 있다. 모로코에서는 정부가 월드컵 유치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자, 청년들이 교육과 의료 서비스 개선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였다.




 지난 9월 29이 모로코 라바트에서 열린 시위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AFP=연합뉴스


시위의 동력: 경제적 불평등과 SNS

각국 시위의 직접적인 계기는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청년층이 부패한 특권층에 느끼는 분노가 동력으로 작용했다. 이들 국가는 대부분 높은 실업률과 심각한 경제적 불평등, 만연한 권력층 부패라는 공통점을 안고 있다.




 지난 9월 28일 파라과이 아순시온에서 열린 시위에 참여한 시민들. EPA=연합뉴스


이번 시위들은 특정 정당이나 노조의 주도 없이, Z세대가 SNS를 통해 자발적으로 조직했다는 특징을 보인다. 파라과이, 페루, 모로코 등 현장에서는 정당의 깃발 대신 SNS를 통해 뜻을 모은 청년들이 시위를 이끌었다. 


이들은 틱톡 등 새로운 플랫폼을 통해 국경 없이 메시지를 공유하며, 기성 정치 질서에 강력한 경고를 보내고 있다.





[저작권자ⓒ 국일일보, 무단전재•재배포금지, AI 학습 및 활용금지]


이우창

이우창

기자

국일일보
등록번호서울 가 50176
발행일자2016-11-16
발행인정세균
편집인박병무
편집국장이우창
연락처1688-4157
FAX050)4427-6389
이메일nuguna365@kukilnewspaper.com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고산자로 377 한독빌딩 3층
국일미디어주식회사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