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의 심장 'ESS', 잇단 화재에 성장동력 잃나

이우창 기자

등록 2025-10-03 09:38

최근 5년 6개월간 54건 화재…'원인 미상' 최다, 국산 배터리에 집중

'안전 관리' 구멍난 사이 커지는 국민 불안…정부·업계 근본 대책 절실



국정자원 배터리 살피는 감식반30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현장에서 감식 관계자들이 불이 붙었던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의 상태를 살피고 있다. 연합뉴스

최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를 계기로 에너지저장장치(ESS)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ESS는 생산된 전력을 저장했다가 필요 시 공급하는 장치로, 특히 변동성이 큰 재생에너지 산업의 핵심 설비로 꼽힌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위성곤 의원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 6개월간 국내에서 발생한 ESS 화재는 총 54건에 달했다. 화재 원인으로는 '원인 미상'이 21건으로 가장 많았고, 전기적 요인(17건), 기계적 요인(10건) 등이 뒤를 이었다.


화재가 발생한 ESS는 대부분 국내 주요 배터리 3사 제품에 집중됐다. 삼성SDI 제품이 17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LG에너지솔루션 8건, SK온(SK이노베이션) 1건 순으로 집계됐다.


정부가 재생에너지 확대를 적극 추진하면서 ESS 수요는 앞으로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단순한 보급 확대를 넘어, 국민 불안을 해소할 수 있는 체계적인 안전 관리 시스템 강화가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위성곤 의원은 "ESS는 재생에너지 확대에 필수적인 만큼, 안전 운영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며 "설계·운영·점검 등 전 과정에서 정부의 안전 관리 체계 보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국일일보, 무단전재•재배포금지, AI 학습 및 활용금지]


이우창

이우창

기자

국일일보
등록번호서울 가 50176
발행일자2016-11-16
발행인정세균
편집인박병무
편집국장이우창
연락처1688-4157
FAX050)4427-6389
이메일nuguna365@kukilnewspaper.com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고산자로 377 한독빌딩 3층
국일미디어주식회사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