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다시 꺼내 든 '백두산 카드'…김정은 체제 결속 '올인'

이우창 기자

등록 2025-08-13 08:55

광복 80주년 앞두고 '정신 무장'으로 체제 결속 총력…'백두산대학엔 졸업 없다'며 사상 교육 강제




군마 타고 백두산 오르는 김정은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군 간부들과 함께 군마를 타고 백두산에 올랐다고 조선중앙TV가 4일 보도했다. 중앙TV가 공개한 사진에서 김 위원장의 옆으로 부인 리설주 여사와 현송월 삼지연관현악단장 겸 당 선전선동부 부부장의 모습이 보인다. 2019.12.4 (사진= 연합뉴스)



광복 80주년을 앞두고 북한이 '백두산 정신'을 다시금 전면에 내세웠다. 관영 매체를 총동원해 백두산 답사를 독려하는 것은, 주민 사상 무장을 통해 체제 결속을 강화하려는 포석으로 읽힌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2일 자 1면 사설에서 "백두산 정신으로 조선혁명을 끝까지 완성하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신문은 "항일혁명선렬들이 백두의 설한풍 속에서 창조한 백두산 정신이야말로 우리 혁명의 명맥을 담보하는 위대한 정신"이라며 그 의미를 부각했다.


특히 "김정은 총비서 동지의 사상과 영도에 절대 충성해야 더 큰 승리를 쟁취할 수 있다"고 역설하며, 백두산 정신을 최고지도자에 대한 절대적 충성과 등치시켰다.


북한은 그동안 백두산을 김일성 주석의 항일 투쟁 근거지이자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탄생지라고 선전하며 '혁명의 성산(聖山)'으로 우상화해왔다. 이곳 답사를 '백두산대학' 이수로 칭하며 전 주민을 상대로 한 사상 교육의 핵심 수단으로 삼아왔다.


신문은 별도 기사를 통해 "백두산지구 혁명전적지 답사는 더없이 중요한 교양 과정"이라며 "'백두산대학'에는 졸업이 없음을 명심하고 평생 그 길을 이어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처럼 '백두산 정신'을 내세우는 것은 미국 주도의 제재와 경제난 등 체제 위기 상황에서 꺼내 드는 북한의 상투적인 선전·선동 방식이다. 현재의 시련을 항일 투쟁기의 고난에 빗대어, 불굴의 의지로 돌파하자는 메시지를 주민들에게 각인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흐름은 2019년 북미 '하노이 회담 결렬' 직후,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백마를 타고 백두산을 등정하는 '군마 행군'을 연출한 뒤 한층 노골화됐다.


실제로 최근 전국여맹일꾼, 청소년, 직맹간부 등 각계각층의 답사 행렬이 폭염 속에서도 쉴 틈 없이 백두산으로 향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내외적 위기감이 고조되는 가운데, 북한이 '백두산'을 고리로 내부 통제를 강화하고 주민 결속을 다잡으려는 의도가 깔린 것으로 분석된다.





 – 저작권자 ⓒ 국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이우창

이우창

기자

국일일보
등록번호인천, 가00036
발행일자2016-11-16
발행인정세균
편집인박병무
편집국장이우창
연락처1688-4157
이메일nuguna365@kukilnewspaper.com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고산자로 377 한독빌딩 3층
국일미디어주식회사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