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와프는 입장권일 뿐"…美 3500억불 투자 요구에 靑 '제동'

이우창 기자

등록 2025-09-25 08:24

'캐시플로' 명시한 美 MOU에 "외환시장 충격" 우려 표명…우리 국익 관철 의지 강조


브리핑하는 김용범 정책실장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2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 면담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24일(현지시간) 한미 관세협상과 관련해 '무제한 통화 스와프'가 체결된다고 해서 협상이 자동으로 타결되는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유엔총회 참석차 뉴욕을 방문 중인 김 실장은 브리핑에서 통화 스와프는 협상의 '필요조건'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대규모 투자에 따른 외환시장 충격을 막을 최소한의 안전장치로, 이 문제가 해결되어야만 다음 협상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통화 스와프가 성사되더라도, 미국이 요구하는 3,500억 달러 투자가 즉시 이행되는 것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김 실장은 실제 투자가 이뤄지려면 '충분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며, ▲현행법상 허용 범위 준수 ▲필요시 수출입은행법 개정 또는 국회 동의 확보 ▲상업적 합리성 보장 등을 조건으로 제시했다.


정부가 통화 스와프를 강력히 요구하게 된 배경도 설명했다. 지난 7월 31일 관세 합의 이후 미국이 보내온 양해각서(MOU) 초안에는 당초 한국 측이 대출이나 보증으로 이해했던 3,500억 달러 투자액이 현금 투자(에쿼티)에 가까운 '캐시플로'로 명시되어 있었다. 


김 실장은 이러한 투자 방식이 현실화될 경우 국내 외환시장에 미칠 심각한 충격을 우려하며, 이 점을 미국 측에 강력히 지적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협상은 투자 방식의 성격을 최대한 대출에 가깝게 규정하는 방향으로 진행 중이다. 또한, 쌀과 소고기 등 비관세 분야는 논의 대상이 아님을 분명히 했다.


김 실장은 이재명 대통령과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의 면담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다가오는 경주 APEC 정상회의가 협상의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국일일보, 무단전재•재배포금지, AI 학습 및 활용금지]


이우창

이우창

기자

국일일보
등록번호인천, 가00036
발행일자2016-11-16
발행인정세균
편집인박병무
편집국장이우창
연락처1688-4157
이메일nuguna365@kukilnewspaper.com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고산자로 377 한독빌딩 3층
국일미디어주식회사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