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테크 4파전' 가열되는 美 로보택시 시장

이우창 기자

등록 2025-11-19 10:08

웨이모 유료 운행 1천만 건 돌파, 죽스는 운전대 없는 '전용 로보택시'로 차별화



미 캘리포니아 새너제이에서 운행 중인 구글 웨이모 차량미 캘리포니아 새너제이에서 운행 중인 구글 웨이모 차량. AP=연합뉴스 


미국 자율주행 로보택시 시장 확대 속도가 빨라지면서 구글, 아마존 등 빅테크 기업들의 시장 선점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구글 알파벳의 자회사 웨이모는 지난 18일(현지시간) 마이애미, 댈러스, 휴스턴, 샌안토니오, 올랜도 등 5개 신규 도시에서 운전자가 없는 완전 자율주행 서비스를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마이애미는 발표 당일부터 운행을 시작했으며, 나머지 4개 도시는 향후 수주 내에 순차적으로 서비스를 개시한다. 


웨이모 측은 AI 기술을 개선해 지역적 특성을 해결하고, 업계 최고의 승객 지원 시스템과 결정적인 운영 매뉴얼을 구축하는 등 서비스 확대를 위한 준비를 마쳤다고 강조했다. 웨이모는 텍사스주와 플로리다주의 이들 주요 도시에서 내년부터 본격적인 유료 영업을 시작할 방침이다.




미 라스베이거스에서 운행 중인 아마존 죽스 자율주행차미 라스베이거스에서 운행 중인 아마존 죽스 자율주행차. AFP=연합뉴스 


현재 웨이모는 오스틴, 샌프란시스코(SF), 로스앤젤레스(LA), 애리조나주 피닉스, 애틀랜타 등에서 유료 서비스를 운영 중이며, 이 중 SF, LA, 피닉스에서는 최근 고속도로를 포함하는 주행 서비스도 개시하여 운영 범위를 넓혔다. 


웨이모는 2020년 첫 출시 이후 지난 5월 기준 유료 운행 1천만 건을 돌파했다고 밝히며 서비스의 안정성을 입증했다. 


이 회사는 뉴욕에서도 주행 테스트를 시작했으며, 내년에는 디트로이트, 라스베이거스, 내슈빌, 샌디에이고, 워싱턴DC 등으로 서비스 지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미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운행 중인 테슬라 로보택시미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운행 중인 테슬라 로보택시. 로이터=연합뉴스 


경쟁사인 아마존의 자율주행 부문 죽스(Zoox)도 주행 지역을 확장하며 경쟁에 가세했다. 대부분의 로보택시가 기존 차량을 개조한 것과 달리, 죽스는 운전 장치가 전혀 없는 전용 차량을 사용하며, 서로 마주 보는 4개의 좌석과 앞뒤 구분 없이 양방향 주행이 가능한 독특한 구조가 특징이다. 


죽스는 샌프란시스코 일부 지역에서 '죽스 익스플로러스' 프로그램 가입자를 대상으로 무료 차량 호출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는 지난 9월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도심 인근에서 처음으로 일반인 대상 무료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두 번째 확대이다.


한편, 테슬라는 지난 6월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모델Y 차량을 이용한 로보택시 서비스를 제한적으로 시작한 뒤 샌프란시스코로 확대했지만, 아직 안전요원이 탑승한 상태로 운행하고 있다. 


차량호출 서비스업체 우버 역시 엔비디아의 AI 자율주행 관련 기술을 탑재해 2027년부터 로보택시 10만 대를 운영한다는 구체적인 계획을 지난달 말 발표했다.


업계는 인공지능(AI) 기술 발달과 함께 자율주행차 시장 선점을 위한 빅테크 기업 및 모빌리티 플랫폼들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국일일보, 무단전재•재배포금지, AI 학습 및 활용금지]


이우창

이우창

기자

국일일보
등록번호서울 가 50176
발행일자2016-11-16
발행인정세균
편집인박병무
편집국장이우창
연락처1688-4157
FAX050)4427-6389
이메일nuguna365@kukilnewspaper.com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고산자로 377 한독빌딩 3층
국일미디어주식회사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