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재난사태' 선포된 강릉… 저수율 15.7% 역대 최저

이우창 기자

등록 2025-08-30 20:00

타들어 가는 주민 속… 소방차 50대 긴급 투입, 전국적 협력 호소

하루 2,000톤 추가 급수… "주민 불편 최소화" 총력



이재명 대통령, 강릉 가뭄 현장 점검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강원 강릉시 성산면 오봉저수지를 방문해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김진태 강원도지사 등과 함께 가뭄 상황 점검을 마친 뒤 이동하고 있다. (사진=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사상 최악의 가뭄으로 신음하는 강원도 강릉시에 '재난사태'를 선포하고 범정부적 총력 대응을 지시했다. 또한 국가 차원의 소방력 동원을 명령하며 범정부적 총력 대응을 주문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생활용수 제한 급수가 시행 중인 강릉시를 직접 방문했다. 먼저 이 지역 핵심 수원지인 오봉저수지를 찾아 거북 등처럼 갈라진 맨바닥을 직접 확인하며 심각성을 체감한 뒤, 강릉시청으로 이동해 가뭄 대책회의를 긴급 주재하며 이같이 지시했다고 강유정 대변인이 서면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이번 대통령의 결정은 전날 강원도가 정부에 이 지역에 대한 재난사태 선포를 공식 건의한 데 따른 신속한 조치다. 이 대통령은 회의에서 "가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가 가용한 모든 자원을 총동원하여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라"고 강력히 지시했다. 


이어 "식수 확보를 위해 전국적인 지원이 필요한 만큼, 여유가 있는 다른 지방자치단체에서도 공동체 의식을 갖고 적극적으로 도와달라"고 당부하며 전국적인 협력을 호소했다.


강 대변인에 따르면,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행정안전부는 범정부 차원의 총력 대응을 위해 이날 오후 7시를 기해 강원 강릉시 일원에 재난사태를 공식 선포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국가소방동원령 발령으로 소방 탱크 차량 50대를 현장에 즉시 지원해 하루 약 2,000톤의 생활용수를 추가로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강릉의 상황은 심각하다. 최근 6개월간 누적 강수량은 평년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으며, 이로 인해 강릉 전체 생활용수의 87%를 책임지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은 전날 기준 15.7%까지 떨어졌다. 이는 평년 저수율 71.0%에 한참 못 미치는 역대 최저 수치다.


강릉시는 이미 저수율이 25% 이하로 떨어진 지난 20일부터 각 가정의 계량기 밸브를 50% 잠그는 강도 높은 제한 급수를 실시해왔다. 시는 저수율이 15%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 밸브를 75%까지 잠그는 추가 조치를 예고한 상태여서 시민들의 불안과 고통이 가중되고 있었다.


이날 대책회의에는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김진태 강원도지사, 김홍규 강릉시장 등 정부와 지자체 책임자를 비롯해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 더불어민주당 허영 의원 등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총출동해 해법을 모색했다.


회의에서 김진태 지사는 이 대통령에게 "현장을 보셨듯이 매우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종합적으로 살펴 재난사태를 선포해달라"고 건의했다. 그는 회의가 끝날 무렵에도 "재난사태가 선포되면 정말 고맙겠다"고 거듭 요청하며 지역의 절박한 심정을 전달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윤호중 장관을 향해 "(재난사태 선포는) 행안부 소관 업무라고 한다. 가능하고 필요하다면 그렇게 하시죠. 즉시 처리해달라"고 지시했다. 이어 김 지사에게는 "좋은 제안을 해주셔서 감사하다"고 화답했다.


재난사태는 재난이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현저할 경우,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선포하는 긴급조치다. 선포 시 인력·장비·물자 동원은 물론, 위험구역 설정, 대피명령, 응급 지원, 공무원 비상소집 등 강력한 행정 조치와 함께 체계적인 정부 차원의 지원이 이뤄진다.


이번 강릉 가뭄에 대한 재난사태 선포는 과거 양양 산불(2005년), 태안 기름유출 사고(2007년), 동해안 산불(2019년) 등 국가적 재난에 준하는 심각한 상황이라는 정부의 판단이 깔린 조치로 풀이된다.






– 저작권자 ⓒ 국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이우창

이우창

기자

국일일보
등록번호인천, 가00036
발행일자2016-11-16
발행인정세균
편집인박병무
편집국장이우창
연락처1688-4157
이메일nuguna365@kukilnewspaper.com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고산자로 377 한독빌딩 3층
국일미디어주식회사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