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한국 핵잠 승인... 동북아 '핵잠 경쟁' 서막 오르나

이우창 기자

등록 2025-10-30 14:10

'오커스(AUKUS)' 이어 한국까지... '대중 포위망' 인식에 중국 강력 반발 예상



거수경례하는 이재명 대통령이재명 대통령이 29일 경북 경주박물관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공식 환영식에서 거수경례하고 있다. 왼쪽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직후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핵잠) 건조를 승인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는 역대 한국 정권의 오랜 염원이었으나, 중국을 자극할 수 있다는 외신 분석이 나왔다.


이 대통령은 29일 정상회담에서 디젤 잠수함의 잠항 능력 한계를 지적하며, 북한 및 중국 잠수함 추적과 미군 부담 경감을 위해 핵잠 연료 공급을 요청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요청을 받아들여, 30일 소셜미디어를 통해 건조 승인 사실을 공개했다.


산케이신문은 핵잠 보유가 1993년 김영삼 정권부터 추진됐으나 미국의 농축 우라늄 공급 거부 등으로 좌절됐던 '숙원(宿願)'이었다고 보도했다. 


핵잠 운용에는 소형 원자로와 농축 우라늄 확보에 미국의 동의가 필수적이다. 마이니치신문은 북한 핵 고도화에 대응해 국민 안심감을 높이려는 의도로 분석했다.


그러나 산케이는 한국의 핵잠 보유가 중국을 자극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중국은 미국·영국·호주 안보 동맹(오커스·AUKUS)을 통한 호주의 핵잠 도입에도 경계심을 보이는 가운데, 지리적으로 가까운 한국의 보유는 긴장을 높일 수 있다. 


대통령실은 이 대통령의 '중국' 언급에 대해 '특정 국가를 지칭한 것이 아니다'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산케이는 또한 이번 승인이 미중 대립 속 '한미동맹 현대화'의 명목이며, 이는 주한미군 활동 범위 확대로 이어져 중국의 반발을 부를 수 있다고 해설했다.


한편, 일본 다카이치 사나에 내각 역시 사실상 핵잠 도입을 추진 중이어서, 일본까지 보유할 경우 역내 긴장이 한층 고조될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국일일보, 무단전재•재배포금지, AI 학습 및 활용금지]


이우창

이우창

기자

국일일보
등록번호서울 가 50176
발행일자2016-11-16
발행인정세균
편집인박병무
편집국장이우창
연락처1688-4157
FAX050)4427-6389
이메일nuguna365@kukilnewspaper.com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고산자로 377 한독빌딩 3층
국일미디어주식회사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