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혁명이 깨운 '잠자는 사자'… 아프리카, 한국의 '기회의 땅'으로 떠오르다

이우창 기자

등록 2025-08-12 08:30

은행을 건너뛴 금융, '손안의 지갑'이 표준이 되다

경이로운 보급률… 모바일이 아프리카 성장의 '심장'

'디지털 주권' 선언… 사회 구조까지 바꾸는 조용한 혁명

잠재력 폭발하는 시장, 한국 기업에 주어진 '절호의 기회'




                                                이집트 카이로 엑스포 (사진= 신화통신 연합뉴스)




휴대전화 하나가 아프리카 대륙의 경제 지도를 다시 그리고 있다. '모바일 머니'로 대표되는 디지털 혁신이 은행 인프라 부족이라는 물리적 한계를 넘어 금융, 사회, 경제 시스템 전반을 재편하고 있다. 이러한 거대한 변화의 물결은 한국 기업들에게 놓칠 수 없는 '기회의 땅'이 펼쳐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은행을 건너뛴 금융, '모바일'이 표준이 되다

아프리카의 디지털 전환은 케냐의 '엠페사(M-Pesa)'와 같은 서비스가 기폭제가 됐다. 전통적인 은행 시스템을 거치지 않고 개인의 휴대전화가 곧 지갑이자 은행이 된 것이다. 송금, 결제는 물론 소액 대출까지 가능한 모바일 금융은 이제 선택이 아닌 아프리카인의 경제 활동에 필수불가결한 표준으로 자리매김했다.


성장의 심장, 경이로운 모바일 보급률

이러한 혁신의 기저에는 경이로운 속도의 휴대전화 보급이 있었다. 2025년이면 아프리카 대륙의 모바일 회선이 8억 5,500만 개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된다. PC보다 모바일 인터넷 접속이 압도적으로 높은 환경은 나이지리아, 이집트와 같은 국가를 중심으로 거대한 내수 시장을 창출했다. 특히 전력난을 겪는 오지에서조차 태양광 에너지로 통신망을 유지하며 디지털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케냐의 휴대전화 금융 서비스 엠페사(M-Pesa)케냐의 휴대전화 금융 서비스 엠페사(M-Pesa) (사진= EPA 연합뉴스)


'디지털 주권'으로 경제·사회 구조를 혁신하다

모바일 경제는 금융 접근성을 높여 경제적 불평등을 완화하고, 교육과 보건 분야의 공공 서비스 효율을 높이는 등 사회 구조 전반에 '조용한 혁명'을 일으켰다. 이에 아프리카 각국은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아프리카 인터넷 거버넌스 포럼(AfIGF)' 등을 통해 AI 기술 도입과 데이터 정책을 주도적으로 논의하며 '디지털 주권'을 확립하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한국, 기회의 창을 열 '골든타임'

전문가들은 아프리카의 디지털 대전환이 한국 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입을 모은다. 잠재력이 폭발하는 아프리카 시장에 디지털 인프라 투자, 현지 유망 스타트업과의 파트너십, 기술 기반 서비스 진출 등 보다 과감하고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한 '골든타임'이라는 분석이다.






 – 저작권자 ⓒ 국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이우창

이우창

기자

국일일보
등록번호인천, 가00036
발행일자2016-11-16
발행인정세균
편집인박병무
편집국장이우창
연락처1688-4157
이메일nuguna365@kukilnewspaper.com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고산자로 377 한독빌딩 3층
국일미디어주식회사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