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發 물가 쇼크…美 7월 도매물가, 예상 4배 '급등

이우창 기자

등록 2025-08-15 04:25

전월比 0.9%↑, 5개월 만에 최고…서비스·식품 가격이 상승 주도

기업, 비용 부담 소비자에게 전가 본격화…CPI 선행지표 '빨간불'

물가 경고등에도…시장은 '9월 금리인하' 기대 여전



미 로스앤젤레스항의 컨테이너미 로스앤젤레스항의 컨테이너 (사진= 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 정책 여파가 물가 지표에 본격적으로 반영되기 시작했다. 7월 미국의 도매 물가가 시장의 예상을 큰 폭으로 뛰어넘는 급등세를 보였다.


미 노동부는 14일(현지시간)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월 대비 0.9%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는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인 0.2% 상승을 4배 이상 웃도는 수치다.


전년 동기 대비 상승률은 3.3%를 기록, 지난 2월(3.4%) 이후 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라섰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생산자물가지수 역시 전월 대비 0.6% 올라 전망치(0.3%)를 두 배 상회했다.

도매물가로 불리는 생산자물가는 통상 일정 시차를 두고 최종 소비재 가격에 반영돼 소비자물가의 선행지표로 여겨진다.


이번 물가 상승은 서비스 부문이 주도했다. 최종 수요 서비스 가격은 전월 대비 1.1%나 오르며 2022년 3월(1.3%) 이후 3년 4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을 기록했다. 특히 도소매업자의 마진 변화를 측정하는 거래 서비스 가격지수가 2.0% 급등하며 전체 서비스 가격 상승을 이끌었다. 세부적으로는 기계 및 장비 도매업 가격이 3.8% 치솟아 서비스 가격 상승분의 30%를 기여했다.


상품 가격 또한 상승 압력을 받았다. 7월 최종 수요 상품 가격은 전월 대비 0.7% 올라 지난 1월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 폭을 보였다. 신선 및 건조 채소 가격이 38.9% 폭등하면서 전체 식품 가격이 1.4% 올랐고, 이는 상품 가격 상승의 40%를 차지했다.


이러한 도매 물가의 급등은 그동안 관세 인상 비용을 자체적으로 흡수해오던 기업들이 한계에 부딪혀 상품 및 서비스 가격을 본격적으로 조정하기 시작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앞서 발표된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2.7% 상승에 그쳐 인플레이션 우려를 다소 진정시켰으나, 이번 생산자물가 지표로 인해 관세가 촉발하는 물가 상승 압력에 대한 경계감은 다시 높아질 전망이다.


월가 분석가들은 관세 부담이 결국 소비자에게 전가될 것이라고 지속적으로 경고해왔다. 다만, 관세의 물가 상승 영향이 일회성에 그칠지, 혹은 장기적인 추세로 이어질지에 대해서는 전문가들의 견해가 엇갈리고 있다.


한편, 시장 참가자들은 물가 상승 압력에도 불구하고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9월 통화정책 회의에서 기준금리 인하를 재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는 관세로 인한 물가 문제보다 둔화하는 노동시장 상황에 대응하는 것이 더 시급한 과제라는 인식이 우세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 저작권자 ⓒ 국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이우창

이우창

기자

국일일보
등록번호인천, 가00036
발행일자2016-11-16
발행인정세균
편집인박병무
편집국장이우창
연락처1688-4157
이메일nuguna365@kukilnewspaper.com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고산자로 377 한독빌딩 3층
국일미디어주식회사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