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의 '선택과 집중'…조선·원전은 '속도', 반도체는 '신중'

이우창 기자

등록 2025-08-26 14:57

방미 기간 중 MRO·원전 사업 MOU 성과…미중 갈등 및 정치적 리스크에 반도체 대규모 투자는 다음 기회로




젠슨 황과 대화하는 이재용-최태원 회장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윌라드 호텔에서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 리셉션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 대화하고 있다. (사진= 워싱턴 연합뉴스)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그룹의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꼽히는 조선 및 원전 사업에서 미국과의 파트너십을 한 단계 격상시켰다. 


특히 AI 반도체 분야의 핵심 파트너인 젠슨 황 엔비디아 CEO와 만나 기술 동맹을 재확인하고 글로벌 협력망을 다졌다. 다만, 시장의 이목이 쏠렸던 반도체 부문 대미 추가 투자 계획은 대외적인 불확실성을 고려해 이번 발표에서는 제외됐다.


26일 산업통상자원부 및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재용 회장의 방미 기간에 맞춰 삼성중공업은 미국 '비거 마린(Vigor Marine)' 그룹과 '미 해군 함정 유지·보수·정비(MRO) 사업에 관한 전략적 파트너십(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삼성중공업이 세계 최대 규모의 미 해군 및 해상수송사령부 MRO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는 교두보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삼성중공업은 그간 한화오션이나 HD현대 그룹과 달리 방산 특수선 건조 사업을 영위하지 않았으나, 이번 협력을 통해 고부가가치 사업인 해군 MRO 분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게 됐다. 


향후 삼성중공업은 협력 범위를 넓혀 미국 파트너 조선소와의 공동 함정 건조 사업 참여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MOU 체결을 위해 최성안 삼성중공업 부회장이 이 회장과 함께 미국을 방문해 최종 조율을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원자력 발전 분야에서도 의미 있는 성과가 도출됐다. 이 회장과 함께 방미길에 오른 오세철 삼성물산 사장은 한국수력원자력과 공동으로 미국 에너지 기업 '페르미 아메리카(Fermi America)'와 'AI 캠퍼스 프로젝트'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3자간 협력 MOU를 체결했다.


페르미 아메리카는 전 미국 에너지부 장관인 릭 페리가 공동 설립한 회사로, 차세대 AI 기술 구현에 필수적인 기가와트(GW)급 전력망 구축을 선도하고 있다. 


이 회사가 미국 텍사스주 아마릴로에 추진 중인 'AI 캠퍼스'는 대형 원전 4기와 소형모듈원자로(SMR) 2기, 가스복합화력, 태양광 및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ESS)를 결합한 대규모 전력 공급 인프라와 하이퍼스케일 AI 데이터센터를 함께 구축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삼성물산은 이 프로젝트에서 원전 및 데이터센터 건설 등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전망이다.




엔비디아와 삼성전자의 포옹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윌라드 호텔에서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 리셉션에 참석해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 포옹하고 있다. (사진= 워싱턴 연합뉴스)


이처럼 양국의 핵심 전략 산업인 조선과 원전 분야에서 구체적인 협력 성과가 나온 것과 달리,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의 최전선인 반도체 분야에서는 별도의 사업 계획이 공개되지 않았다.


당초 재계에서는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삼성전자가 테슬라와 23조 원 규모의 파운드리 공급 계약, 애플 아이폰용 이미지센서 공급 등 대규모 수주와 연계된 투자 확대 구상을 내놓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특히, 2030년까지 54조 원을 투자해 텍사스주 테일러에 건설 중인 파운드리 공장에 대한 추가 투자 계획이 발표될 가능성도 거론됐다. 또한, 최근 메모리 사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고대역폭 메모리(HBM) 사업과 관련해서도 긍정적인 신호가 기대됐다. 


이 회장은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서 글로벌 AI 칩 시장의 '큰손'인 젠슨 황 엔비디아 CEO와 반갑게 포옹하는 모습을 보이며 양사 간의 굳건한 파트너십을 과시했다. 이는 삼성의 HBM이 엔비디아에 납품될 것이라는 '청신호'로 해석되며 기대감을 높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반도체 협력 플랜이 나오지 않은 배경에는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대외적 불확실성이 자리 잡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 대통령은 반도체에 대한 100% 품목 관세를 예고하는 등 보호무역주의 기조를 강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미국 정부가 자국 기업인 인텔에 대한 보조금을 전액 출자로 전환하며 최대 주주에 올라선 뒤 "그런 거래를 더 할 것"이라고 밝혀, 삼성전자와 TSMC 등 외국 반도체 기업을 압박하려는 의도 아니냐는 해석을 낳았다.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기존의 양국 관세협상 결과를 재확인했을 뿐, 반도체 품목 관세나 미국 정부의 반도체 기업 지분 인수 등 민감한 현안에 대한 추가 논의 여부는 공개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기업들은 기존에 발표한 계획에 따라 미국 정부와 긴밀히 협력하며 현지 투자를 차질없이 이행하고, 새로운 사업 기회를 지속적으로 모색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브리핑을 통해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서 엔비디아의 슈퍼컴퓨터에 최적화된 반도체 칩을 SK와 삼성이 제공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고 전하며 "이는 AI 산업에서 양국의 협력 가능성을 재확인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 저작권자 ⓒ 국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이우창

이우창

기자

국일일보
등록번호인천, 가00036
발행일자2016-11-16
발행인정세균
편집인박병무
편집국장이우창
연락처1688-4157
이메일nuguna365@kukilnewspaper.com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고산자로 377 한독빌딩 3층
국일미디어주식회사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