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6년 8개월 만에 방중…시진핑·푸틴과 '반미 연대' 과시

이우창 기자

등록 2025-09-02 22:19

中 전승절 계기 3자 회동…경제·군사 밀착 강화로 서방 압박 수위 높여



CHINA-BEIJING-DPRK-KIM JONG UN-ARRIVAL (CN)김정은 조선노동당 총비서 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장이 중국인민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즘 전쟁 승리 80주년 기념행사 참석을 위해 2025년 9월 2일 중국 수도 베이징에 도착했다. (사진= 신화통신/팡싱레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초청으로 중국 '항일전쟁 승리 80주년(전승절)' 기념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2일 오후 베이징에 도착했다. 


2019년 1월 이후 6년 8개월 만의 방중으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함께 참석할 예정이어서 북·중·러 3국의 전략적 연대가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당시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중국과 전략을 조율했던 것과 달리, 이번 방중은 노골적인 북·중·러 3각 공조를 통해 서방에 맞서는 구도를 명확히 한다는 점에서 성격이 다르다.


조선중앙통신은 2일 외무성 보도국을 인용, 김 위원장을 태운 전용 열차가 현지 시각 오후 4시경 베이징역에 도착했다고 이례적으로 신속하게 보도했다. 


과거 최고지도자의 해외 방문 동선을 하루 이틀 뒤에 공개하던 관행에서 벗어난 파격적인 실시간 보도는 이번 방중이 갖는 정치적 무게감과 자신감을 드러내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베이징역 플랫폼에는 중국 권력 서열 5위인 차이치 공산당 중앙서기처 서기를 필두로 왕이 외교부장, 인융 베이징시 당서기 등 중국 최고위급 인사들이 대거 나와 김 위원장을 맞았다. 이는 중국 측이 김 위원장의 방문에 부여하는 높은 중요성과 최상의 예우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김 위원장은 중국 측 간부들과의 환담에서 "6년 만에 또다시 중화인민공화국을 방문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시진핑 주석을 비롯한 중국 당과 정부, 인민의 환대에 깊은 사의를 표했다. 한편, 이날 베이징 시내에서는 인공기를 단 의전 차량 행렬이 삼엄한 경비 속에 이동하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김정은 방중' 북 인공기 단 차량 행렬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중국 전승절 열병식 참석차 중국 베이징에 도착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2일 인공기를 단 차량 행렬이 베이징 시내를 지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번 방중에 부인 리설주 여사와 동생 김여정 당 부부장의 동행 여부는 공식적으로 확인되지 않았다. 하지만 통신이 공개한 사진에서는 김 위원장의 뒤를 딸 김주애가 따르는 모습이 포착되어, '백두혈통' 후계자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분석된다.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은 3일 톈안먼 광장에서 열릴 대규모 열병식을 정점으로 한다. 특히 이 자리에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참석하면서, 김 위원장은 시 주석, 푸틴 대통령과 함께 주석단에 나란히 서게 될 전망이다. 이는 미국 중심의 국제질서에 맞서는 북·중·러 3각 공조 체제를 전 세계에 과시하는 상징적인 장면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3자 회동을 계기로 북한에 대한 중국의 경제 지원과 러시아의 군사 기술 이전 등 구체적인 협력 논의가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이는 한반도를 넘어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보 지형에 상당한 파장을 미칠 것으로 보여 국제사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 저작권자 ⓒ 국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이우창

이우창

기자

국일일보
등록번호인천, 가00036
발행일자2016-11-16
발행인정세균
편집인박병무
편집국장이우창
연락처1688-4157
이메일nuguna365@kukilnewspaper.com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고산자로 377 한독빌딩 3층
국일미디어주식회사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