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발 '나비효과'…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 서방권 도미노

이우창 기자

등록 2025-09-23 07:59

유엔 총회 앞두고 이스라엘 고립 심화… 미국은 "하마스에 대한 보상" 반발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 선언하는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팔레스타인 국가 인정 선언하는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사진= 뉴욕 EPA 연합뉴스) 


유엔총회 고위급 회의를 하루 앞둔 22일(현지시간), 프랑스가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공식 승인했다.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공세가 계속되는 가운데,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는 서방 국가들의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이날 뉴욕 유엔총회장에서 열린 '두 국가 해법' 관련 고위급 회의에서 "평화의 길을 열기 위해 오늘 프랑스는 팔레스타인 국가를 승인한다"라고 발표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평화 속에 공존하는 '두 국가 해법'을 지키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무드 아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 수반은 화상 연설을 통해 팔레스타인의 유엔 정식 회원국 가입 지지를 촉구하며, 휴전 후 1년 내 개혁과 선거 실시를 약속했다.




화상연설하는 마무드 아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반화상연설하는 마무드 아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반 (사진= 뉴욕 EPA 연합뉴스) 


프랑스의 이번 결정에 앞서 캐나다, 호주, 영국, 포르투갈, 몰타가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승인했으며, 벨기에와 룩셈부르크 등도 동참할 것으로 전망된다.


외교 전문가들은 이러한 서방 국가들의 연이은 결정이 상징적 의미를 넘어, 가자지구에서 인도주의적 참상을 빚고 있는 이스라엘에 대한 실질적인 압박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는 최근 유엔 조사위원회(COI)가 이스라엘의 행위를 '제노사이드(대량학살)'로 규정한 보고서를 발표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팔레스타인 문제 논의 유엔 고위급 회의팔레스타인 문제 논의 유엔 고위급 회의 (사진= 뉴욕 EPA 연합뉴스) 


이번 발표로 G20 국가 중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은 나라는 미국,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등 5개국만 남게 됐다. 


한국은 최근 유엔에서 팔레스타인 관련 결의안에 찬성하는 등 변화된 입장을 보였으나, 국가 공식 인정에는 유보적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반면 이스라엘과 미국은 이러한 움직임에 강하게 반발했다. 대니 다논 주유엔 이스라엘 대사는 이를 "외교가 아닌 보여주기식 공연"이라고 일축했으며, 미국 백악관은 "하마스에 대한 보상"이라며 트럼프 전 대통령이 이 결정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국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이우창

이우창

기자

국일일보
등록번호인천, 가00036
발행일자2016-11-16
발행인정세균
편집인박병무
편집국장이우창
연락처1688-4157
이메일nuguna365@kukilnewspaper.com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고산자로 377 한독빌딩 3층
국일미디어주식회사

국일일보 © 국일일보 All rights reserved.

국일일보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SS